헬조선










?

존댓말과 반말의 본질적인 의미를 알아야 한다고 생각을 합니다.

존댓말이라는 것은 격식을 갖춘 언어 입니다.?? 왜 격식을 갖춰서 써야하는가?

낯선 사람을 만나면? 서로가? 서로에 대해 잘 모르는 상태이기에? 무례를 범할수 있기 때문이죠

?

그래서 격식을 갖춰서 대화를 함으로써? 상호간의 오해가 생기는 상황을? 막을 수 있죠

그러면 반말은 무엇일까요 ?? 그런 격식을? 없애고 하는 말이 반말입니다.?? 자주 만나다 보면 서로

공감대가 형성되고 친분이 쌓이죠 ?? 그러면 서로가 이심전심으로? 이해를하고 공감을 하게 됩니다.

?

그러한 상황에서? 서로 존댓말을 쓰는것도 나쁘다고 할수는 없으나? 비효율적일 수는 있어요

서로가 서로를 이해하는 상황에서는 어지간해서는 오해가 생기지 않고? 오해가 생겨도? 쉽게 풀립니다.

그러니? 자주보고 자주얘기하고? 공감도 되는 상황에서? 계속 존댓말을 쓰자니?? 말은 길어지고

?

말도? 어렵고?? 쉽게 말해 귀찮고? 하니? 격식을? 허물어 뜨리고 편하게 대화를 하자는 것입니다.

그게 반말이죠?? 그런데? 왜? 나이에 따라?? 연장자는 연하의 사람에게 격식을 허물어 뜨린 말을 쓰면서

연하의 사람에게는 자신에게 격식을 갖추도록? 강요하나요 ?

?

그게 나이에 따른 존댓말인데?? 그럴거면? 왜? 반말을 쓰자는 것인가요 ?

서로 언어사용에 있어 격식을 허물어 뜨려서? 편하고 효율적으로 대화하자는게? 반말을 하는 취지인데

저런식으로? 한쪽은 반말? 한쪽은 존댓말?? 하는? 상황은??? 이도저도 아닌게 되고??? 오히려 오해를 사게 되는 것입니다.

?

연장자는? 연하에게 반말을 쓰다보니? 무례를 범할수도 있게 되는 것이고? 연하의 사람은 연장자에게 꼬박꼬박 존댓말을

쓰게 되니 불편한것이죠? 이 상황에서 연하의 사람은? 때론 자신이 업신여김을 당했다고 생각할수도 있고? 그로인해

연장자를 증오하게 된다면? 연장자는? 연하의 사람에게 신뢰를 잃게 되는 것이니????? 양측에게? 다 이득이 없고 손해만 있지 않습니까?

?

존댓말과? 반말이라는 게 본질적으로 생겨난? 원인을 알아야 합니다.

여러분이 길을 가다가? 낯선 사람을 만나서 얘기를 하게 된다고? 가정을 하죠??? 그 낯선 사람이? 여러분 보다

나이가 많은지 적은지 알수 있습니까?? 확실하게? 알수있을 정도로? 나이 차이가 나는 경우도 있지만

?

애매모호한 경우도 있을 것이고? 때로는? 겉모습과 달리 나이가 많거나? 적은 사람과도? 마주하게 될것입니다.

그러면 여러분들은 상대와 나의 나이의 높고 낮음을 비교 판단하기 어려울때??

상대에게? 나이가 어떻게 되십니까? 라고 물어봅니까?????? 너 몇살이니?? 라고 물어 봅니까?

?

당연? 나이가 어떻게 되십니까?? 라고 묻는게? 맞죠 ???? 막상 물어 본 후에? 여러분 보다 어린 사람 일 수도 있어요

그리고 나이가 어떻든 간에 그게 무슨 상관입니까?? 상대가 나보다 어리다는것이 확실시 된다해도 상대가 나보다

무력이 더 강한 사람 일수도 있고? 더 강한 세력을 가진 사람 일 수도 있습니다.?? 그렇게 상대의 실체를 파악하지

?

못한상태에서 상대에게 무례를 범했다가는?? 어떤 꼴을 당할지 몰라요? 그래서?낯선사람에게는 격식을 차려서 얘기를 하는 것입니다.

제가 왜 이런 예를 들어서 얘기하냐면요??? 이 존댓말이라는게?그 본질을 보면? 나이와 무관하다는 것을 말씀드리기

위함입니다.?? 존댓말이라는 것은? 파악하지 못한? 낯선사람에 대해? 접근할때에? 격식을 갖춤으로서? 상대의? 심기를? 거스르지

?

않고?? , 상대의 불편한 심기로 인해? 내가 피해받지 않기 위해???? 내가 취할수 있는? 안전장치라는 것이죠

그래서 존댓말이라는 것이? 필요하고??? 추후에 서로가 서로에 대해 이해하고? 공감해 줄수 있는 상황이 되면

서로 언어의 격식을 허물고?? 반말을 쓰게 되는 것입니다.

?

존댓말과 반말의? 사용이 왜 생겨났는지?? 그 본질적 원인에 기초하여? 본다면요

유교식 예절문화로 일방적인 반말 존댓말은 무의미 합니다






  • 헬조선 노예
    15.09.13
    탈죠센선봉장님 헬포인트 20 획득하셨습니다. 헬조선에서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
  • `
    15.09.13
    존댓말은 더러운 거짓예의임

    계층의식 형성에도 영향주는거같음

    그래도 잘쓰면 나쁘지않다고 생각함.

    쓰는애들 수준에 따른거라서..
  • 만약에 지금 공자가 21세기에 다시 나타나면 지금 중국/대만인 서구 유럽인들을 더 유교적이라고 말할 것이다.
  • 헬조선병신
    15.09.13
    존내 웃기는건 공자는 3살배기 어린아이에게 배울 게 있으면 고개 숙이라 했고 맹자는 10살차이라도 친구 먹으라 했는데 저 둘의 가르침이 헬조선으로 오니깐 좆같은 헬조선 고유의 장유유서로 바뀜 ㅋㅋㅋㅋㅋ

    헬조선으로 오면 모든게 다 헬조선화 된다는 법칙을 그대로 보여준다.
  • 헬조선병신
    15.09.13
    여담으로 맹자는 왕이 왕답지 못하면 모가지를 치라 했을 정도의 급진주의자였는데 역시 이것도 헬조선으로 오니깐 왕이 좆같아도 왕을 모시라는 헬조선 고유의 유교로 바귐 ㅋㅋㅋㅋㅋㅋㅋ
  • hellrider
    15.09.13
    말이나 존댓말 반말이 문제가 아니지요^^

    생각해보세요

    얘야^^ 밥은 먹었니?^^

    이렇게 반말하는거랑

    야!!! 밥은 쳐먹었냐?!!

    같은 반말인데 뭐가 다를까요? ㅋㅋㅋ

    결론은 전부 인간입니다 인간 ㅋㅋㅋ

    인간이 쓰레기면 존댓말을 해도 쓰레기인겁니다^^
  • 위천하계
    15.09.13
    존댓말은 격식을 보여주기 위해서, 또는 거리감을 두기 위해서 쓰는것 아니었나.

    나이 때문에 거리감이 생겨서 그걸 나타내고 싶다면 존댓말도 괜찮을거 같음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69325 0 2015.09.21
1594 36명 뽑는 공기업에 2299등으로 합격..‘최경환 인턴’의 기적 1 new 허경영 532 2 2015.09.16
1593 국가적 고자들 2 new 서울사람 335 4 2015.09.16
1592 국감에서 헬조선 단어가 나오네요 2 newfile 이거레알 425 5 2015.09.16
1591 피아식별 못하는 헬조선 종특.. 7 new 도시락 525 3 2015.09.16
1590 국뽕들이 들으면 답하지 못하는 질문 29 new Delingsvald 785 5 2015.09.16
1589 잠깐 쉬어가자. 천조국 천재의 명언. 8 new 육노삼 714 8 2015.09.16
1588 경찰 초급 간부, 의경 생활관서 총기장난…조사 착수 2 new 절대애낳지말자 421 4 2015.09.16
1587 '희대의 사기범' 조희팔 뇌물받은 전직 총경 구속 new 절대애낳지말자 305 2 2015.09.16
1586 36명 뽑는 공기업에 2299등으로 합격…‘최경환 인턴’의 기적 10 new 민족주의진짜싫다 513 7 2015.09.15
1585 이번엔 의경에게 K-2 소총 겨눈 경찰관 2 new 민족주의진짜싫다 385 2 2015.09.15
1584 헬조선 건물주들의 문제점 3 new 사회정의 485 6 2015.09.15
1583 지하철 노약자 임산부 자리 7 new 혀니 455 2 2015.09.15
1582 내년까지 이 정권이 버틸수 있을까나? 10 new 도시락 561 6 2015.09.15
1581 헬조센 군대. jpg 8 newfile 이거레알 693 4 2015.09.15
1580 야당의원이 틀린말 한건 없지않나? 9 new 도시락 381 4 2015.09.15
1579 헬조센의 노예만드는 결정적인 방법 3가지. 8 new 씹개돼지분쇄기 677 3 2015.09.15
1578 미개한 dna 5 new 심영의짜씩 379 4 2015.09.15
1577 헬조센에 온 시리아 난민들 누가누굴구해? 14 new 헬조선탈조선 490 5 2015.09.15
1576 아소산 화산분화에 대한 센징들 반응 3 newfile 식칼반자이 478 1 2015.09.15
1575 지금까지의 헬조선은 예고편 ^^ 3 new 허경영 458 5 2015.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