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노인
18.03.20
조회 수 304
추천 수 2
댓글 2








 

 

1.한 학년에 배우는 것으로 끝내는 수학

우리는 초등학교 5학년에 분수와 소수, 비례와 백분율을 배우고 끝내지만 싱가포르는 7학년(우리의 중학교 1학년)에서 분수와 소수, 어림과 근삿값, 비, 비율, 비례,백분율 내용이 반복해 다뤄지고 비와 비례에 대한 내용은 초등학교 5학년에서 7학년까지 매 학년마다 확장, 심화된다.

 

인도의 7학년(우리의 중1) 수학에서 다루는 유리수의 연산에 대한 기본성질(교환, 결합, 분배법칙)과 더불어 닫혀있음, 항등원, 역원, 유리수의 조밀성 등은 우리나라 '중3'이나 '고1, 2'학년에서 다루는 내용들이다. 이와 달리 인도 7학년의 도형 영역은 대체적으로 우리나라 '중1'에 해당되지만, 측정, 규칙성과 함수, 확률과 통계 영역의 내용은 우리나라 초등학교에서 취급하는 내용이 대부분이다.인도의 7학년 내용은 우리나라 초등학교의 쉬운 내용부터 고등학교의 어려운 내용까지 혼재된 형식으로 한 단원에서 통합해 다루는 경우가 많다.

 

2.부족한 설명

‘한국, 싱가포르, 인도 수학교과서의 방정식 단원 비교연구'(이현정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논문,2010년)에 따르면, 우리나라가 딱딱한 서술과 문제,암기중심이라면 싱가포르와 인도는 교과서의 분량이 커지더라도 그래프, 예시를 풍부하게 활용하고 있다. 인도 교과서의 경우 대단원과 관련이 있는 수학 역사와 인도 수학자 업적 등을 설명해 수학에 대한 학습자들의 흥미와 동기를 부여하고 있다. 

 

싱가포르와 인도는 '연립 일차 ㆍ이차방정식의 풀이'에서 그래프를 활용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우리나라 교과서도 그래프를 제시해 방정식 풀이를 하고 있지만, '방정식' 단원이 아니라 '함수' 단원에서 이루어져 학습자들에게 혼란을 줄 수도 있다. 

 

중학교 1학년에 등장하는 음수(-)에 대한 교육방법은 독일과 비교해보자. 과거에는 대부분의 나라들이 온도계에서 빙점인 0도를 기준으로 영상온도와 영하온도를 통하여 음수를 설명해왔지만 지금은 더욱 다양한 방식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현재 수직선모델을 주로 활용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수직선의 현재가 0이라고 가정하고 앞으로 가면 양수(+), 뒤로가면 음수(-)가 된다는 것. 독일 중학교에서는 우주선의 발사 장면을 통해 양수와 음수의 의미를 설명한다. 즉, 우주선의 발사장면을 5초 전부터 시작해 1초 전, 0(발사), 발사 1초 후, 2초 후 등으로 제시, 음수와 양수의 의미를 더욱 분명하게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 현직 교사는 "왜 음수가 필요한지를 느끼게 하고 음수 연산에 대한 법칙과 관계들을 익히게 해야 하는데 우리 교과서는 그에 대한 충분한 질문과 동기부여가 없이 계산법만을 익히게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3. 학습 부진아를 위한 맞춤 학습 부족

수학을 어려워하고 재미를 붙이지 못하는 학생들에 대한 대책은 프랑스와 비교된다. 수학과목의 부진학생들을 개별지도하고 구제하는 것은 우리나라도 중요하게 다루고 있지만 교사들의 지도 시간 및 인력 부족으로 부진아 구제를 위한 기본 문제의 단순 반복과 평가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프랑스는 2008년부터 새로 적용된 교육과정에서 교사들이 수업 시수를 조율해 주당 2시간씩 연간 60시간을 부진아들을 위한 특별 개인 지도 시간으로 할애할 수 있으며 봄방학 및 여름방학을 이용하여 중급 학생을 대상으로 2주간의 단기 연수를 실시한다. 

 

4. 세분화가 없고 난해하기만 함

미국의 경우 기본교육과정(8년~12년)은 일반적으로 대수학 Ⅰ, 기하학, 대수학Ⅱ, 확률과 통계, 삼각법, 선형 대수학, 수리 해석, AP(대학과목 선이수제)확률과 통계, 미적분으로 구성돼 있다.

반면 한국에서는 한 학년에 배우면 끝, 세세하게 배울 생각 없음 

 

 

http://cm.asiae.co.kr/view.htm?no=2013101613522618257#ba

 






  • leakygut
    18.03.20
    아따 글 좋네 한국인은 수학적 능력을 정교하고 계산적인 거짓말을 빌드업하는데 쓰고있음 서구처럼 창의적인거 새로운 발견 이런거 없고 ㅋㅋ
  • 창천해운
    18.03.23
    수학때문에 인생이 틀어진 사람으로써, 하긴 저같은 사람이 많겠지만. 문제푸는 기술만 가르치고 생각하는 힘을 기르지 못하는 수학이 무슨 필요가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그저 고문일뿐이죠.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댓글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444 0 2015.09.21
16422 헬조선 차기 대선후보의 허위사실 유포 2 new 허경영 247 5 2015.09.29
16421 국정교과서는 핑게고.. 이슈가 필요한것같다.. 2 new 도시락 186 4 2015.10.27
16420 헬조선의 청년^^ 2 new 죽창병 549 5 2015.09.29
16419 헬조선은 총기 허용되어야합니다. 2 new 사회정의 209 2 2015.09.29
16418 [잊지말자]노인 = 헬조선의 중심, 등뼈, 기둥1 2 new 육노삼 324 2 2015.09.30
16417 살다살다 가장 어이없던게 김치가 항암 작용한다는 주장 2 newfile 머한헬국 445 4 2015.09.30
16416 헬조선을 헤븐조선으로 바꿀수있는 유일한방법. 2 new 탈조선은생존 326 5 2015.09.30
16415 헬조선에서 길거리 구걸하는 사람에게 돈줄 필요가 없다. 2 new 헬조선탈조선 520 4 2015.10.01
16414 헬조센인들의 환상적인 세뇌교육 2 new 죽창을베개삼아 394 7 2015.10.01
16413 비교하고 따라가기 바쁜 한국 2 new 후덜 254 3 2015.10.01
16412 헬조선에서 올바른 마음가짐 2 newfile 잭잭 236 5 2015.10.01
16411 신발을 골라봅시다. 2 newfile blazing 879 5 2015.12.06
16410 헬조선의 노후는? 노인 상대적 빈곤율 OECD 최고 2 new 민족주의진짜싫다 216 1 2015.10.02
16409 돈없으면 돈없다고 무시. 돈 많으면 돈 많다고 시기. 2 newfile rob 439 0 2015.10.03
16408 헬조선이 왜 헬이 된이유 2 new 굴라크는모든것을해결한다 307 6 2015.10.03
16407 치트를 좋아하는 헬조선인들 2 new 구원자 301 1 2015.10.03
16406 아베는 싫지만.. 2 new 명성황후 192 2 2015.10.03
16405 헬조선 구조도 2 newfile 뻐킹김치 344 5 2015.10.03
16404 그 예능이 정부의 광고었어? 2 newfile 엉우엉어 396 5 2015.10.03
16403 UPI, 세계경제포럼, 한국 금융 분야에서 한국을 가나와 우간다 하위로 평가 2 new 헬루미 209 2 2015.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