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빚공화국' 韓, 소득대비 가계대출 170%…증가세 OECD 최고수준(종합)

[그래픽] '빚공화국' 한국, 소득대비 가계대출 170%
[그래픽] '빚공화국' 한국, 소득대비 가계대출 170%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증가폭 그리스·스위스 이어 3번째로 커
OECD 삶의 질 보고서…"부채, 지탱할 수 없는 수준 도달하면 경제시스템 위험"

(서울=연합뉴스) 김경윤 기자 = 가파르게 늘어나는 가계부채가 한국의 향후 삶의 질을 위협하는 요소로 꼽혔다.

빚에 눌린 채무자 (PG)
빚에 눌린 채무자 (PG)[제작 조혜인] 일러스트

 

7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2017 삶의 질(How's life)' 보고서에서 최신집계 기준으로 OECD 회원국 및 비회원국 41개국의 '미래 생활의 질'(future well-being) 위험 요소 30개를 비교한 결과 가계부채가 OECD 국가 중 하위권을 뜻하는 3등급을 받았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가구당 순 가처분소득 대비 부채 비율은 2015년 기준 170%로, OECD 회원국 및 비회원국 33개국 가운데 10번째로 높았다.

이는 OECD 30개국 평균인 123%를 훌쩍 웃돌며, 주요 선진국인 미국(112%), 일본(135%)보다 높은 수치다.

회원국 가운데서는 헝가리와 라트비아의 소득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각각 51%, 52%로 낮았고, 러시아(29%)와 이탈리아(89%)의 가계부채 비율도 100%를 하회했다.

가계부채는 한 가구가 가진 주택담보대출과 신용카드 대금, 자동차 구매자금 대출, 학자금 대출 등을 합친 것이다.

OECD는 가계부채를 회원국의 미래 생활의 질에 위험이 되는 요소로 선정하고 "부채가 지탱할 수 없는 수준에 도달하면 경제 시스템에 위험이 된다"고 지적했다.

한국의 가계부채는 해를 거듭할수록 상승세가 가팔라지는 모습을 보였다.

한국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08년 143%에서 2015년 170%로 27%포인트(p) 상승했다. OECD 회원국 29개국과 비회원국 1개국 등 30개국 가운데 세 번째로 상승속도가 빨랐다.

같은 기간 한국보다 큰 폭으로 상승한 국가는 그리스(32%p), 스위스(31%p)뿐이었다.

이는 OECD 주요 회원국의 가계부채 흐름과 반대되는 것이다.

가계부채 비율이 높은 덴마크의 경우에도 2008년 340%에서 2015년 293%, 2016년에는 292%로 부채 비중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아일랜드도 2008년 230%에서 2015년 178%로 가계부채 비율이 감소했다.

OECD가 2005년부터 2015년까지 소득 및 가계부채가 집계된 28개국의 자료를 평균 낸 결과 OECD 평균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05년 127%에서 2007년 135%까지 올라갔다가 2015년 121%로 내려갔다.

한국은 2005∼2007년 자료가 없어 28개국에 포함되지 않았다.

OECD 가구당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 추이[OECD 삶의 질 보고서 캡처]
OECD 가구당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 추이[OECD 삶의 질 보고서 캡처]

 

대기오염과 부족한 수자원, 정부에 대한 신뢰도 부족도 한국의 미래 생활의 질에 위험이 되는 요소로 꼽혔다.

한국의 야외에서 초미세먼지(PM 2.5) 평균 노출도는 27.9㎍/㎥(2013년 기준)로 41개국 중 가장 나빴다. 이는 OECD 평균 13.9㎍/㎥의 두 배 수준이다.

재생 가능한 수자원도 매우 부족하다. 한국의 재생 가능한 수자원 규모는 1인당 1천500㎥로, OECD 회원국 가운데 두 번째로 작았다.

한국보다 재생 가능 수자원 규모가 작은 OECD 국가는 중동 국가인 이스라엘(1인당 300㎥)뿐이었다. 비회원국 가운데서도 남아프리카공화국(1인당 600㎥)만 한국보다 못한 결과를 보였다.

정부에 대한 신뢰도는 바닥 수준을 보였다.

OECD가 2014∼2016년 사이 '중앙정부를 신뢰하십니까'라는 항목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한국에서 '그렇다'고 답한 비율은 26.2%에 불과했다.

회원국 가운데 슬로베니아(21.0%), 그리스(25.3%)를 제외하고 가장 낮았다.

한국 국민의 정부 신뢰도는 브라질(27.3%), 멕시코(28.7%)에도 못 미쳤다.

OECD 평균은 37.6%였으며 스위스와 룩셈부르크의 경우 신뢰한다는 응답이 각각 77.9%, 67.9%에 달했다.

외출 자제 서울시내
외출 자제 서울시내(서울=연합뉴스) 김승두 기자 = 중국발 스모그에다 황사까지 강타하면서 전국적으로 미세먼지 농도가 올들어 최악을 나타냈다. 6일 오전 서울 시내 건물들이 뿌옇게 보이고 있다. 2017.5.6
[email protected]





  • DireK
    18.01.08
    내 빚을 타인에게 전가하라. 이 나라는 사기를 쳐야 살고 아니면 망하는 나라 ㅋㅋㅋㅋ 비트코인 사기쳐서 부채를 중국한테 떠넘기면 강대국 됨. 결국 선진국이 다 그렇고 그런거.
    이게 어느 정도냐면 거진 빚을 다 까는 순간 자본소득이 순이익이 되면서 기업, 개인, 국가계정의 돈이 팍 늘면서 국민소득 5만도 가능해진다는 거라고. 물론 다 사기지만.

    물론 핵 날라와도 후회하기 없기.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추천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444 0 2015.09.21
16002 요즘 10대이하를보면서 5 new 코리아 507 2 2015.08.16
16001 헤븐조선 vs 베트남 자동차 가격 3 new 허경영 759 2 2015.08.16
16000 흉악범죄 피해자와 유족에게는 지옥같은 헬조선 7 new Heaven-Chosun 389 2 2015.08.16
15999 헬조선의 미개한 과학 수준 5 new HELLIOKOREA 752 2 2015.08.16
15998 한국은 미국에게 민주주의를 질내사정당한 3류 국가이다. 14 new 오딘 1129 2 2015.08.16
15997 중국산 1 new ` 136 2 2015.08.16
15996 헬선인님이 일본 경제의 진실에 대해서 말했다고는 하지만... 3 new aircraftcarrier 440 2 2015.08.16
15995 근데 궁금한게 헬조선을 벗어날수 없다면 종교로 진통제처럼 쓸수 있지 않을까? 13 new IS한국요원 441 2 2015.08.15
15994 장미야 넌 헬조선사이트의 1등 공신이야. 4 new 헬한민국 292 2 2015.08.15
15993 가난한 아버지 = 열등한 쓰레기 유전자 5 new 오딘 965 2 2015.08.15
15992 헬조선 장물아비를 털었더니.. 5 new 잭잭 398 2 2015.08.15
15991 헬조선 초보운전 딱지로 알아보는 분노조절장애 1 new 허경영 504 2 2015.08.15
15990 댓글을 통해 본 헬조선의 좆같이 평온한 일상..... 1 new 헬리퍼스 313 2 2015.08.14
15989 헬조선의 정확한 군사력. 24 new aircraftcarrier 652 2 2015.08.14
15988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2 new 잭잭 257 2 2015.08.14
15987 헬조선인의 정수를 보여주는 프로그램.. 4 new 잭잭 383 2 2015.08.14
15986 여자는 군대 안가냐는 논리는 잘못됫었습니다 6 new 헬조선탈출 304 2 2015.10.29
15985 헬조센의 완결판 (위키백과 디씨갤 버전) 2 new 히로토 509 2 2015.08.13
15984 누군가 헬조선 불황을 묻거든, 강원랜드를 보게하라 1 new 퉤퉤 453 2 2015.08.13
15983 해처리 성님이 생각하는 복지란.. 4 new 퉤퉤 300 2 2015.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