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빚공화국' 韓, 소득대비 가계대출 170%…증가세 OECD 최고수준(종합)

[그래픽] '빚공화국' 한국, 소득대비 가계대출 170%
[그래픽] '빚공화국' 한국, 소득대비 가계대출 170%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증가폭 그리스·스위스 이어 3번째로 커
OECD 삶의 질 보고서…"부채, 지탱할 수 없는 수준 도달하면 경제시스템 위험"

(서울=연합뉴스) 김경윤 기자 = 가파르게 늘어나는 가계부채가 한국의 향후 삶의 질을 위협하는 요소로 꼽혔다.

빚에 눌린 채무자 (PG)
빚에 눌린 채무자 (PG)[제작 조혜인] 일러스트

 

7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2017 삶의 질(How's life)' 보고서에서 최신집계 기준으로 OECD 회원국 및 비회원국 41개국의 '미래 생활의 질'(future well-being) 위험 요소 30개를 비교한 결과 가계부채가 OECD 국가 중 하위권을 뜻하는 3등급을 받았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가구당 순 가처분소득 대비 부채 비율은 2015년 기준 170%로, OECD 회원국 및 비회원국 33개국 가운데 10번째로 높았다.

이는 OECD 30개국 평균인 123%를 훌쩍 웃돌며, 주요 선진국인 미국(112%), 일본(135%)보다 높은 수치다.

회원국 가운데서는 헝가리와 라트비아의 소득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각각 51%, 52%로 낮았고, 러시아(29%)와 이탈리아(89%)의 가계부채 비율도 100%를 하회했다.

가계부채는 한 가구가 가진 주택담보대출과 신용카드 대금, 자동차 구매자금 대출, 학자금 대출 등을 합친 것이다.

OECD는 가계부채를 회원국의 미래 생활의 질에 위험이 되는 요소로 선정하고 "부채가 지탱할 수 없는 수준에 도달하면 경제 시스템에 위험이 된다"고 지적했다.

한국의 가계부채는 해를 거듭할수록 상승세가 가팔라지는 모습을 보였다.

한국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08년 143%에서 2015년 170%로 27%포인트(p) 상승했다. OECD 회원국 29개국과 비회원국 1개국 등 30개국 가운데 세 번째로 상승속도가 빨랐다.

같은 기간 한국보다 큰 폭으로 상승한 국가는 그리스(32%p), 스위스(31%p)뿐이었다.

이는 OECD 주요 회원국의 가계부채 흐름과 반대되는 것이다.

가계부채 비율이 높은 덴마크의 경우에도 2008년 340%에서 2015년 293%, 2016년에는 292%로 부채 비중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아일랜드도 2008년 230%에서 2015년 178%로 가계부채 비율이 감소했다.

OECD가 2005년부터 2015년까지 소득 및 가계부채가 집계된 28개국의 자료를 평균 낸 결과 OECD 평균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05년 127%에서 2007년 135%까지 올라갔다가 2015년 121%로 내려갔다.

한국은 2005∼2007년 자료가 없어 28개국에 포함되지 않았다.

OECD 가구당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 추이[OECD 삶의 질 보고서 캡처]
OECD 가구당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 추이[OECD 삶의 질 보고서 캡처]

 

대기오염과 부족한 수자원, 정부에 대한 신뢰도 부족도 한국의 미래 생활의 질에 위험이 되는 요소로 꼽혔다.

한국의 야외에서 초미세먼지(PM 2.5) 평균 노출도는 27.9㎍/㎥(2013년 기준)로 41개국 중 가장 나빴다. 이는 OECD 평균 13.9㎍/㎥의 두 배 수준이다.

재생 가능한 수자원도 매우 부족하다. 한국의 재생 가능한 수자원 규모는 1인당 1천500㎥로, OECD 회원국 가운데 두 번째로 작았다.

한국보다 재생 가능 수자원 규모가 작은 OECD 국가는 중동 국가인 이스라엘(1인당 300㎥)뿐이었다. 비회원국 가운데서도 남아프리카공화국(1인당 600㎥)만 한국보다 못한 결과를 보였다.

정부에 대한 신뢰도는 바닥 수준을 보였다.

OECD가 2014∼2016년 사이 '중앙정부를 신뢰하십니까'라는 항목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한국에서 '그렇다'고 답한 비율은 26.2%에 불과했다.

회원국 가운데 슬로베니아(21.0%), 그리스(25.3%)를 제외하고 가장 낮았다.

한국 국민의 정부 신뢰도는 브라질(27.3%), 멕시코(28.7%)에도 못 미쳤다.

OECD 평균은 37.6%였으며 스위스와 룩셈부르크의 경우 신뢰한다는 응답이 각각 77.9%, 67.9%에 달했다.

외출 자제 서울시내
외출 자제 서울시내(서울=연합뉴스) 김승두 기자 = 중국발 스모그에다 황사까지 강타하면서 전국적으로 미세먼지 농도가 올들어 최악을 나타냈다. 6일 오전 서울 시내 건물들이 뿌옇게 보이고 있다. 2017.5.6
[email protected]





  • DireK
    18.01.08
    내 빚을 타인에게 전가하라. 이 나라는 사기를 쳐야 살고 아니면 망하는 나라 ㅋㅋㅋㅋ 비트코인 사기쳐서 부채를 중국한테 떠넘기면 강대국 됨. 결국 선진국이 다 그렇고 그런거.
    이게 어느 정도냐면 거진 빚을 다 까는 순간 자본소득이 순이익이 되면서 기업, 개인, 국가계정의 돈이 팍 늘면서 국민소득 5만도 가능해진다는 거라고. 물론 다 사기지만.

    물론 핵 날라와도 후회하기 없기.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2094 0 2015.09.21
15757 늙은이가 죄지어놓고 책임은 젊은이가지네 2 new 생각하고살자 296 6 2017.07.21
15756 탈조선은 아는데 탈아시아는 왜인가요? 19 new 슬레이브 375 3 2017.07.21
15755 근데 문재인 죽으면 진보끝난다는거 알고있냐? 1 new 생각하고살자 297 2 2017.07.21
15754 소스타인 베블런의 [유한계급론] 중 질문이있습니다. 2 new 영원의달 232 1 2017.07.21
15753 헬조선은 알바도 아무나 못하네 23 newfile 인니고 576 7 2017.07.21
15752 왜 헬조선에서 공무원이 인기 짱이냐고 ??? 5 newfile CARCASS 434 5 2017.07.21
15751 가장 어려운 문제 1 newfile 노인 195 0 2017.07.21
15750 도조 히데키 손녀가 본 한국군 9 newfile 노인 332 5 2017.07.21
15749 복학왕 우기명 보는새끼들 무조건 내글봐라 new 생각하고살자 241 2 2017.07.21
15748 내가 미국 생활하면서 배운거 한국에는 너무나 부족한거. 18 new hellokori 538 5 2017.07.21
15747 '신자유주의'가 성공한 유일한나라 , 미국 new 아베총리 254 1 2017.07.21
15746 일본효도여행갔다왔는데 5천만원 나온일 .. (한국뉴스) 5 new 아베총리 295 1 2017.07.21
15745 헬센징들은 천국과 지옥둘중 하나 갈거다 . 3 new 아베총리 288 2 2017.07.21
15744 자영업자 10명중 7명 1 new 국뽕충박멸 271 0 2017.07.21
15743 헬반도 정치인 클라스 2 new 국뽕충박멸 265 0 2017.07.21
15742 스스로 만든 표준 이력서를 외면한 한국의 노동부 1 new 노인 291 0 2017.07.22
15741 간략한 한국인 집단의식 분석 2 new 베스트노예 267 3 2017.07.22
15740 감정싸움하는 인간들은 못배운 애들 아닌가 1 new 생각하고살자 231 3 2017.07.22
15739 일뽕은 필연 10 new 베스트노예 244 3 2017.07.22
15738 니들은 어찌생각할지 모르지만 1 new 강하게공격하고탈조선하자 201 0 2017.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