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점.
17.12.26
조회 수 113
추천 수 1
댓글 1








우리들을 옭아매고 닦달하는 것들을

그저 지켜 보고만 있거나 속으로 끙끙 대는 식으로 분노할 게 아니라

'창조적 분노'를 하자고 말하는 글인데

저 혼자만 읽기 아까워서 한번 이 곳에 옮겨와 봅니다

 

[류재한 전남대 불어불문학과 교수] ‘창조적 분노’와 ‘참여’


2017년 12월 20일(수) 00:00

확대축소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는 분노의 시대이다. 폭력과 불의, 극단주의로 점철된 세상 속 인간은 개인적 분노를 넘어 사회적 분노의 일상 속에 살아가고 있다.

2015년 프랑스에서 인간 존엄성의 무시와 훼손을 넘어 문화와 문명의 퇴보를 가져왔던 사건이 있었다. 바로 1월 7일의 극단 이슬람 무장 세력에 의한 ‘샤를리 에브도 테러’와 ‘11월 13일의 파리 테러’로 인간이 왜 분노해야만 하는가를 보여주는 사건들이었다. 특히 후자는 파리 시내 식당과 카페, 공연장 등 6곳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무고한 시민 130명을 사망에 이르게 함으로써 극단주의와 테러에 대한 사회적 분노가 정점에 달했던 사건이었다. 시민의 일상적 공간에서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한 IS의 테러는 정신적 공황과 더불어 극단적인 분노를 일으키기에 충분했다.

테러에 맞서 터져 나온 프랑스인들의 분노는 개인적 감성 차원의 분노가 아니라 테러에 대응하는 방식으로서의 사회적 분노였다. 테러와 극단주의에 맞선 그들의 분노는 외면과 회피, 체념과 무관심의 ‘파괴적 분노’가 아니었다. 그들은 분노를 은폐하지도 않았다. 분노의 은폐 역시 파괴적 분노의 일환이었기 때문이다.

“분노할 실마리를 잡아서 분노할 줄 알고 정의롭지 못한 것에 저항할 줄 알되, 마음속에는 비폭력의 심지를 곧게 세우고 참여하여 새로운 현재와 미래를 창조”하는 분노였다. 이처럼 ‘창조적 분노’는 파괴 지향의 가능성이 높은 분노를 공동체의 단합이나 연대의 촉매가 되는 ‘창조적으로’ 활용된 분노를 말한다.

11월 13일의 파리 테러 발생 2주 후 숨진 희생자 130명을 위한 추도식이 군사박물관 엥발리드에서 거행되었을 때, 당시 대통령이었던 프랑수아 올랑드(Francois Hollande)의 추도식 연설은 분노가 보복과 응징 행위의 동기로 기능하는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 

대통령은 연설에서 테러에 대한 대응의 방식으로서 ‘일상의 회복’을 외친다. 파괴와 죽음을 추앙하는 테러리즘에 대한 두려움과 증오에 굴복하지 않고 평상시처럼 더 많은 노래를 부르고 콘서트장과 경기장에 가는 ‘일상의 회복’은 사회적 분노의 창조적 승화 즉 ‘창조적 분노’에 다름 아니다. 일상의 회복을 위해 프랑스 시민들이 콘서트장과 경기장을 찾는 행위와 같은 ‘공동체의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그들의 분노는 창조적으로 기능하게 된다. 프랑스인들은 극단주의자들의 테러에 ‘분노할 수 있는 힘’을 응집하고 ‘그 결과인 참여’로 테러와 극단주의에 저항한다는 것이다. 분노와 저항이 무관심이나 증오, 복수의 형식을 취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의 회복’을 위한 ‘참여’의 방식으로 이루어진다는 의미이다.

창조적 분노는 비폭력으로 다수가 함께하는 ‘참여’로 승화된 분노를 말한다. 어떠한 두려움과 증오에도 굴종하지 않고 일상의 회복을 이루게 하는 ‘창조적 분노’의 원천인 ‘참여’는 ‘형제애’와 ‘솔리다리테’(연대)의 발휘로 구체화된다. 파리 테러 이후 프랑스인들은 머무를 곳이 없는 생면부지의 외지인들을 위해 자신의 트위터나 인스타그램에 집주소와 함께 ‘열린문’(you are welcome in my house. #PorteOuverte)을 제공하고 부상자 치료를 위해 헌혈에 적극 나서는 ‘도덕적 의무’를 발휘한다. 이러한 도덕적 의무의 발휘는 바로 일상의 회복을 위한 비폭력의 ‘참여’이다.

그리고 그 참여는 ‘형제애’와 ‘솔리다리테’의 표현이자 ‘창조적 분노’의 구현의 방식이다. 테러 이후 거리로 나선 파리사람들의 ‘Je suis Paris’(나는 파리다)라는 당당한 외침 역시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테러 현장과 추모의 공간에서 프랑스인들이 밝힌 촛불 역시 분노로서 ‘참여’, 즉 ‘형제애’와 ‘솔리다리테’의 표현 방식이다. 그리고 테러와 극단주의자들에 대한 폭력적 응징이 아닌 일상의 회복을 위한 비폭력의 참여, 즉 ‘형제애’와 ‘솔리다리테’라고 하는 창조적 분노로 이끌고 있는 감성적 연대의 주체는 바로 ‘일반 시민’임을 알아야 한다

 

-광주일보






  • 헬조선 노예
    17.12.26
    점.님 헬포인트 20 획득하셨습니다. 헬조선에서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455 0 2015.09.21
13733 여성부 없애는건 찬성인데 new 킹석열 14 0 2022.02.04
13732 여성보호는 페미니즘이 아닙니다. 3 new 나키스트 107 2 2018.10.21
13731 여성단체협 "군 가산점? 입대를 영광으로 알아야" 11 new 헬조선 789 0 2015.06.19
13730 여성단체 "성폭행으로 거짓말로 고소해도 무고죄 처벌은 안 됩니다" 3 new 난동 346 2 2015.09.23
13729 여성가족부의 문제점 new 노인 37 0 2018.05.28
13728 여성 회사원의 복장에 대한 개인적인고찰 new 강하게공격하고탈조선하자 112 2 2017.08.15
13727 여성 화장실 증대 보다 시급한 일 1 newfile 노인 80 0 2018.05.16
13726 여성 특별시 용인 사는 센징들 있음? 3 new 헬반도ㅎ 215 7 2016.06.25
13725 여성 징병을 부정적으로 보는 바람계곡의 페미니즘에게 3 new 노인 61 0 2018.12.28
13724 여성 징병문제와 병역비리에 대해 고찰해보자 7 new 꼰대아웃 225 2 2016.01.03
13723 여성 전용 주택 대신 new 노인 19 0 2022.04.27
13722 여성 전용 시설들을 만든 진짜 주범 newfile 노인 119 1 2018.08.08
13721 여성 인권 단체 vs 여성 가족부 new 노인 47 0 2018.06.14
13720 여성 노동자의 저임금을 정당화 시키는 헬조선 기업들(+남성 노동자들이 우울한 이유) 2 new 노인 66 0 2018.07.29
13719 여성 간부에 관해서 2 new 노인 122 0 2019.03.13
13718 여성 가족부는 여성 군복무에 대해 지원을 하고 국방부는 징병제를 폐지 하라 new 노인 52 0 2018.03.16
13717 여성 CEO의 발언 7 new 뭐하냐 782 3 2015.07.28
13716 여름철 극한알바 하는 청춘…'난 꿈이 있어요' 21 new 진정한애국이란 258 7 2017.08.08
13715 여론조사 지지율믿지마라 new 강하게공격하고탈조선하자 106 1 2016.12.22
13714 여론조사 결과는 다 구라임. 4 new John 56 7 2022.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