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점.
17.12.26
조회 수 221
추천 수 1
댓글 1








우리들을 옭아매고 닦달하는 것들을

그저 지켜 보고만 있거나 속으로 끙끙 대는 식으로 분노할 게 아니라

'창조적 분노'를 하자고 말하는 글인데

저 혼자만 읽기 아까워서 한번 이 곳에 옮겨와 봅니다

 

[류재한 전남대 불어불문학과 교수] ‘창조적 분노’와 ‘참여’


2017년 12월 20일(수) 00:00

확대축소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는 분노의 시대이다. 폭력과 불의, 극단주의로 점철된 세상 속 인간은 개인적 분노를 넘어 사회적 분노의 일상 속에 살아가고 있다.

2015년 프랑스에서 인간 존엄성의 무시와 훼손을 넘어 문화와 문명의 퇴보를 가져왔던 사건이 있었다. 바로 1월 7일의 극단 이슬람 무장 세력에 의한 ‘샤를리 에브도 테러’와 ‘11월 13일의 파리 테러’로 인간이 왜 분노해야만 하는가를 보여주는 사건들이었다. 특히 후자는 파리 시내 식당과 카페, 공연장 등 6곳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무고한 시민 130명을 사망에 이르게 함으로써 극단주의와 테러에 대한 사회적 분노가 정점에 달했던 사건이었다. 시민의 일상적 공간에서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한 IS의 테러는 정신적 공황과 더불어 극단적인 분노를 일으키기에 충분했다.

테러에 맞서 터져 나온 프랑스인들의 분노는 개인적 감성 차원의 분노가 아니라 테러에 대응하는 방식으로서의 사회적 분노였다. 테러와 극단주의에 맞선 그들의 분노는 외면과 회피, 체념과 무관심의 ‘파괴적 분노’가 아니었다. 그들은 분노를 은폐하지도 않았다. 분노의 은폐 역시 파괴적 분노의 일환이었기 때문이다.

“분노할 실마리를 잡아서 분노할 줄 알고 정의롭지 못한 것에 저항할 줄 알되, 마음속에는 비폭력의 심지를 곧게 세우고 참여하여 새로운 현재와 미래를 창조”하는 분노였다. 이처럼 ‘창조적 분노’는 파괴 지향의 가능성이 높은 분노를 공동체의 단합이나 연대의 촉매가 되는 ‘창조적으로’ 활용된 분노를 말한다.

11월 13일의 파리 테러 발생 2주 후 숨진 희생자 130명을 위한 추도식이 군사박물관 엥발리드에서 거행되었을 때, 당시 대통령이었던 프랑수아 올랑드(Francois Hollande)의 추도식 연설은 분노가 보복과 응징 행위의 동기로 기능하는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 

대통령은 연설에서 테러에 대한 대응의 방식으로서 ‘일상의 회복’을 외친다. 파괴와 죽음을 추앙하는 테러리즘에 대한 두려움과 증오에 굴복하지 않고 평상시처럼 더 많은 노래를 부르고 콘서트장과 경기장에 가는 ‘일상의 회복’은 사회적 분노의 창조적 승화 즉 ‘창조적 분노’에 다름 아니다. 일상의 회복을 위해 프랑스 시민들이 콘서트장과 경기장을 찾는 행위와 같은 ‘공동체의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그들의 분노는 창조적으로 기능하게 된다. 프랑스인들은 극단주의자들의 테러에 ‘분노할 수 있는 힘’을 응집하고 ‘그 결과인 참여’로 테러와 극단주의에 저항한다는 것이다. 분노와 저항이 무관심이나 증오, 복수의 형식을 취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의 회복’을 위한 ‘참여’의 방식으로 이루어진다는 의미이다.

창조적 분노는 비폭력으로 다수가 함께하는 ‘참여’로 승화된 분노를 말한다. 어떠한 두려움과 증오에도 굴종하지 않고 일상의 회복을 이루게 하는 ‘창조적 분노’의 원천인 ‘참여’는 ‘형제애’와 ‘솔리다리테’(연대)의 발휘로 구체화된다. 파리 테러 이후 프랑스인들은 머무를 곳이 없는 생면부지의 외지인들을 위해 자신의 트위터나 인스타그램에 집주소와 함께 ‘열린문’(you are welcome in my house. #PorteOuverte)을 제공하고 부상자 치료를 위해 헌혈에 적극 나서는 ‘도덕적 의무’를 발휘한다. 이러한 도덕적 의무의 발휘는 바로 일상의 회복을 위한 비폭력의 ‘참여’이다.

그리고 그 참여는 ‘형제애’와 ‘솔리다리테’의 표현이자 ‘창조적 분노’의 구현의 방식이다. 테러 이후 거리로 나선 파리사람들의 ‘Je suis Paris’(나는 파리다)라는 당당한 외침 역시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테러 현장과 추모의 공간에서 프랑스인들이 밝힌 촛불 역시 분노로서 ‘참여’, 즉 ‘형제애’와 ‘솔리다리테’의 표현 방식이다. 그리고 테러와 극단주의자들에 대한 폭력적 응징이 아닌 일상의 회복을 위한 비폭력의 참여, 즉 ‘형제애’와 ‘솔리다리테’라고 하는 창조적 분노로 이끌고 있는 감성적 연대의 주체는 바로 ‘일반 시민’임을 알아야 한다

 

-광주일보






  • 헬조선 노예
    17.12.26
    점.님 헬포인트 20 획득하셨습니다. 헬조선에서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79022 0 2015.09.21
15697 일본생활=한국생활 = 차이점과 좋은곳은.. 2 new 하오마루5 291 2 2017.07.19
15696 헬조선 국뽕 방송 신의한수 - 당신들은 헬조선 외칠 자격 없다 (?) new 아캄나이트 211 0 2017.07.19
15695 솔직히 헬센징들이 한국과일본을 동급취급하는건 ... 2 new 아베총리 179 2 2017.07.19
15694 솔직히 헬센징들이 중국을 비하하는건 ... new 아베총리 314 1 2017.07.19
15693 임금을 인상하는걸 반대하는 헬센징들 . new 아베총리 191 0 2017.07.19
15692 헬센징들이 암에 많이 걸리는이유 . 1 new 아베총리 429 2 2017.07.19
15691 햄버거가 몸에 안좋다고 하는 헬센징들 . 4 new 아베총리 314 0 2017.07.19
15690 일본국회의 역대몸싸움 . new 아베총리 209 0 2017.07.19
15689 아베총리 도배좀 그만해라. 1 new 인생한번뿐이다. 213 3 2017.07.19
15688 한국의 자칭 애국자들이 가면 좋은 나라 1 newfile 노인 484 1 2017.07.19
15687 헬센징들은 '정치적 민주주의'만 추구한다 2 new 아베총리 197 1 2017.07.19
15686 햄버거 병에 대한 반박글(나무 위키 퍼옴) 2 new 노인 249 1 2017.07.19
15685 에라모르겠다 ㅋㅋㅋ 4 new 강하게공격하고탈조선하자 208 1 2017.07.19
15684 질문 3 new 이맛에헬조선삽니다 230 0 2017.07.20
15683 외국인들도 싫어하는 군대갔다온 헬조선쓰레기들 new oldanda 172 0 2017.07.20
15682 패배주의는 패배만 부를 뿐이다. 9 new 우디앨런 261 5 2017.07.20
15681 헬조선 군대갔다오면 씝 장애인된다 외국을 가도 의미가 없다 new oldanda 191 0 2017.07.20
15680 한국이나 북한이나 정신썩은 군인 시민이 많고 예비군의 영향 new oldanda 212 0 2017.07.20
15679 인력시장에 몰리는 청춘들 . 5 new 아베총리 284 0 2017.07.20
15678 '남 잘돼는걸 싫어하는 한국국민성' 물론 정치에도 반영된다 3 new 아베총리 241 1 2017.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