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노인
17.12.17
조회 수 130
추천 수 0
댓글 1








Imf의 문제점

ㆍ중남미·아시아 망친 초긴축 프로그램
ㆍ동유럽에도 요구

1990년대 동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국제통화기금(IMF)은 ‘선진국 금융자본을 위해 빚을 받아오는 대행업체’란 오명을 썼다. 구제금융국에 대한 고금리와 재정긴축, 시장 전면개방 등 혹독한 요구조건 탓이었다. 

외환위기는 94년 멕시코 등 중남미 국가들을 시작으로, 97년 한국을 포함해 인도네시아·태국 등 동아시아 국가들로 옮아갔다. 이후 98년 러시아·동유럽 국가들로 이어졌고, 99년엔 브라질을 강타했다. IMF의 판박이식 처방의 결과는 대체로 참담했다. 고금리로 내수기반이 붕괴했다. 국내 기업들이 초국적 투기 자본들에 헐값 매각되는 일이 속출했다. 예외없이 농민·빈곤층·노동자는 고통을 받았으며 사회 양극화가 심화됐다. 

중남미 국가들에선 80년대 초 IMF 프로그램이 적용되면서 ‘신자유주의 실험’이 시작됐다. 이후 이들은 ‘잃어버린 10년’의 성장을 만회하기 위해 지금도 고전 중이다. 아르헨티나는 95년 이래 꾸준히 두 자리 수준의 실업률을 벗지 못 하고 있으며 2002년 또다시 디폴트(채무불이행)로 국가부도사태를 맞았다. 멕시코에선 농민반란이 일어나는 등 정치·사회적 불안으로 큰 비용을 치러야 했다. 계속되는 금융 불안으로 지난 4월 또다시 470억달러의 구제금융을 신청했다. 

동아시아의 경우 중남미와는 달랐다. 외환위기 당시 이들의 거시경제상황은 나쁘지 않았다. 흑자재정에 인플레이션 수준도 낮았다. 아시아의 위기는 높은 단기외채 비율, 국제적인 환투기에 의한 것이었다. 국가채무가 없는 이들 정부가 할 수 있는 일은 많았다. 그런데도 초긴축 프로그램이 강요됐다. 기업부채 비율이 높았는데도 초고금리 정책을 추진해 기업들이 줄줄이 파산했다. 은행들이 부실채권을 떠안아 문을 닫는 일이 속출했다. 인도네시아에선 석유에 대한 정부 보조금 폐지로 폭동이 일어났고, 태국 바트화 환율은 IMF의 호언장담과 달리 심각한 폭락을 거듭했다. 반면 서방의 금융기관들은 부실 기업들을 매각·분할하면서 큰 이득을 봤다. 오히려 같은 위기 상황에서 IMF 프로그램을 거부한 말레이시아는 신속한 경제회복세를 보였다. 

최근 또다시 신흥국들의 IMF행이 이어지고 있다. 경기침체가 계속되면서 상당수 동유럽 국가들이 구제금융을 신청한 상태다. 많은 이들이 현재 동유럽의 위기가 과거 동아시아 위기와 흡사하다고 지적한다. 

10년 만에 수면 위로 떠오른 IMF는 ‘가진 자만을 위한 조직’이란 비난에서 벗어나기 위한 제스처도 보이고 있다. 지난 3월엔 ‘신축적 신용공여제도’를 도입했다. 일시적 유동성 위기에 빠진 우량 회원국에 까다로운 조건없이 자금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제도다. 지난달엔 루마니아에 대한 지원 조건으로 내걸었던 재정적자 목표를 대폭 높여주기도 했다. 합의 당시 IMF가 예상했던 루마니아의 경제성장률이 크게 빗나간 탓이다. 그러나 강도 높은 긴축재정 요구 등 기본 기조는 그대로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장하준 교수는 지난 4월 한 인터뷰에서 “IMF는 ‘우리가 동아시아 금융위기 때 배워서 달라졌다’고 주장하지만 최근 동유럽 국가들과 체결한 조약들로 미뤄 달라진 게 없다”고 말했다.

원문보기: 
http://m.biz.khan.co.kr/view.html?artid=200909081806395&code=920100#csidxd455bbd7c239922bf4bbca56bce80a8






  • DireK
    17.12.17
    imf가 한게 아냐. 민비 개년이 나라 자산 팔아먹은 것처럼 결국 그 것도 그나라의 집권세력이 받아주니까 된 거에요. 말레이시아의 경우에는 걍 디폴트 쎄리고, IMF 안 간다고 한 경우도 있단다.

    조중동 개새덜이 오피셜하게만 다루는 사실과는 다르게 실제로는 금마들이 협상장가면 이면제의도 하고 그런 바닥이 imf의 실상이고, 아르헨티나건 한국이건 결국 그 것을 받아들였을 때에 헐값에 중소자산가들의 자산을 인수할 수 있다는 공통의 이해에 근간해서 그 협정을 받아들인 것이다.

    imf의 권고는 단지 권고에 불과한 것이며, 받아들이고 말고는 민비가 금광파는 것 마냥 받아들여서 그리 된 거란다.

    그 결과 아르헨티나와 한국에는 (신자유주의가 아니라) 초독점 사회가 초래되었다. 신자유주의라는 말은 문돌이 새끼덜의 디코이로써 자유라는 말과 초독점을 혼동시킬려고 내놓은 주작모조란다.

    초독점이라고 하면 와 개새덜 이렇게 바로 반응이 나오지만, 신자유주의, 응? 자유주의 이러면 존나 긴가민가잖냐. 그런 개새짓이 언어를 이용한 분열책동이다.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추천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611 0 2015.09.21
15923 [경향신문펌] 이씨조선 대 대한민국 ... (기고글) 8 new 히로토 511 2 2015.08.12
15922 낮은곳에서 일을 하면 임금과 처우도 같이 낮아지는 헬조선 7 new 웰컴투헬 451 2 2015.08.12
15921 내 책임입니다 4 new 꿀렁꿀렁 224 2 2015.08.10
15920 먼저 죽창을 쓰던 갓본! 3 newfile 노오오오오오오오오력 464 2 2015.08.01
15919 두 노력 5 new 씹센징탈죠센 284 2 2015.08.01
15918 헬조선 과자업체 외국과자도 창렬포장 2 newfile 노오오오오오오오오력 691 2 2015.08.01
15917 486세대 노답인이유 7 newfile 헬조선지옥불반도 827 2 2015.08.01
15916 헬조선의 기가막히는 보양식... 7 new 퉤퉤 562 2 2015.08.12
15915 헬조선 반도의 헬름 협곡 ㅋㅋ 7 new 퉤퉤 592 2 2015.08.12
15914 헬조센이 미래가 없는 반증 7 new 킹무성찍고모두멸망 910 2 2015.08.06
15913 난방열사 김부선 드디어 헬조선에서 어렵게 승리...jpg 3 new 헬조선뉴스 411 2 2015.08.05
15912 헬조센의 병신같은 법 7 new 박멸장인세스코 570 2 2015.08.05
15911 현역병 월급은 최저임금보다 낮아도 됨 6 new 지옥소년 541 2 2015.08.05
15910 서유리 창조경제 실현! 6 new 허경영 444 2 2015.08.22
15909 지금 헬조선보다 더 긴장중인 곳 2 new 허경영 314 2 2015.08.22
15908 하 진심 콘크리트 스고이데스넼ㅋ 3 new 지옥소년 242 2 2015.08.22
15907 외쿡인이 본 헬조선의 기업문화 7 new 죽창한방 589 2 2015.08.04
15906 헬조선에게 이제 희망이 생김 8 new 악령 688 2 2015.08.03
15905 직장=노예 생활이 틀림없는 이유 4 new 죽창한방 709 2 2015.08.03
15904 내가 hell國을 싫어하는 이유 5 new Lv극빈민 577 2 2015.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