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10월 2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되면서 열흘 간의 연휴를 맞게 됐습니다. 그런데 임시공휴일의 경제적 효과는 얼마나 될까요? 432억이다, 2조다, 19조다…언론을 통해서 천차만별의 숫자가 등장하고 있습니다. 보도마다 이렇게 금액이 다른 이유가 뭔지 그리고 또 이런 걸 어떻게 봐야 하는지 확인을 해 봤습니다.

오대영 기자, 우선 432억 원 이게 가장 많이 보도가 된 거죠?

[기자]

432억 원은 한 국책연구기관에서 조사한 결과인데요. 공식은 이렇게 됩니다.

과거에 지출액 통계를 통해서 국내 여행을 하면 1인당 919원을 쓰는 것으로 가정을 했습니다. 여기에 15세 이상 인구 4300만 명을 곱했습니다.

그러면 400억 원이 하루에 나오고요. 여기에 1인당 해외여행을 위해서 국내에서 쓰는 돈을 32억 원으로 계산해서 더하면 432억 원이 나옵니다.

[앵커]

그러니까 이건 여행으로만 생기는 경제효과를 나타낸 거군요.

[기자]

그렇죠. 정확히 말하면 '여행지출액'이고 경제효과 전체를 이렇게 나타낸다는 일부의 보도는 사실이 아닙니다.

[앵커]

그래서 이제 이걸로 임시휴일의 경제효과를 말하기는 좀 무리인 것 같은데요.

 

 

 

[기자]

맞습니다. 이번에는 또 다른 언론에서 보도되고 있는 2조 원이라는 수치를 보겠습니다.

현대경제연구원의 자료입니다.

임시공휴일 하루에 쓰는 전체 금액을 이렇게 추정을 했습니다.

인구의 절반인 2500만 명이 임시휴일에 쉬고 1인당 8만 원씩을 쓴다고 가정을 한 결과입니다.

8만 원은 과거에 임시휴일에 얼마나 썼는지를 설문조사를 해서 물가상승률을 반영 해서 나온 수치입니다.

[앵커]

앞에서 본 자료와는 기준이 다른 거잖아요. 여행뿐만 아니라 하루에 쓰는 모든 금액을 추산한 거군요.

[기자]

그렇죠. 앞서 자료는 여행 지출만 본 것이고 이건 전체 지출을 본 겁니다.

그래서 기준이 더 넓은데 그렇다고 해도 경제효과를 이걸로 말할 수는 없습니다. 민간소비에만 초점을 맞춘 거죠.

이번에는 언론보도 중에서 가장 큰 금액으로 등장하고 있는 19조 원의 근거를 한번 보겠습니다.

앞서 432억 원을 발표했던 그 연구원의 다른 자료인데 이 자료에서는 금액의 단 위부터가 다릅니다.

여기에서는 소비뿐만 아니라 노동의 생산성, 노동자의 만족도까지 금액으로 환산을 해서 총 19조 원의 상승효과가 있다고 봤습니다.

반면에 기업이 부담해야 할 비용은 7조 원으로 나타났는데 그래서 이걸 빼면 순수 하게 늘어나는 하루당 경제효과는 12조 원이라는 게 이 자료의 결론입니다.

하지만 일부 언론에서는 19조 원으로 보도가 되고 있습니다.

[앵커]

그러니까 결국에 지금 언론에서 보도되고 있는 경제효과 수치 중에서 실제로 좀 정확하게 표현하는 건 없다, 찾아보기가 어렵다는 얘기인데 그러면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발표를 한 경제효과는 있습니까?

[기자]

지난해 5월에 발표한 게 있는데 좀 비슷하기는 합니다.

전년 같은 기간 연휴에 비해서 백화점 매출액이 16% 증가했다. 그리고 4대 궁의 입장객 수가 70%, 박물관 입장객 수가 17.3%, 고속도로의 통행량이 8.6% 늘었다라는 건데 하지만 금액으로 나온 자료는 없고 그리고 이 가운데 저 4대 궁, 박물관, 고속도로는 입장료나 통행료가 면제가 됐습니다.

그래서 그 효과를 부각시키는 수치라는 반론도 나왔습니다.

[앵커]

어쨌든 백화점 매출이 늘었으니까 소비가 늘긴 는 거군요.

[기자]

늘기는 늘었죠. 이번에 연휴가 10일잖아요. 그런데 과거에 그러니까 2015년과 16년에는 5월에 임시휴일이 지정된 다음에 연휴가 나흘이었습니다.

이번에는 기간이 2배가 넘게 깁니다. 그래서 경제효과가 더 클 수밖에 없을 거라는 분석이 있는데. 그 결과는 추후 정부의 통계로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오늘은 팩트체크는 미디어비평이 됐습니다. 팩트체크 오대영 기자였습니다.

 

 

정부는 이런거 세워봐야 소용없다. 현장 노동자들은 쌩 일요일 에도 뺑이 치고 특근수당 몇푼 더 주면 그걸로 끝인데.

그렇다고 육체 노동자들은 너무 기죽을 필요는 없음.

 

하루종일 컴퓨터나 다루는 사무직 노동자들은 쉬는날이 많고 남놀때 다놀고 그런 장점은 있다.

한가지 안좋은 점이 있는데 뭔줄 아냐.?

 

똥배나 튀어나온 뚱돼지들이 굴러다닌다는 것이지. 너무 놀아서 운동을 통 안하니까 체지방 축적이 육체 노동자들 보다 더 빠르다는 거쥐.

그러니까 고지혈증 걸리고 당뇨병에 훨씬 더 잘걸린다는 것이다. 그 중에 2030대 성인병 환자도 있다고함.

 

그러면 아무리 육체 노동자들 보다 월급을 더 많이 받아봐야 지들 병원비에 다 써버리는데 어쩌겠냐.

 

사무직 노동자들은 거의 대부분이 뚱돼지들 이다. 사무직에 종사하는 노동자들 보니까 안그렇든.?

 

육체 노동자들은 힘은 들지만 그걸로 지방 연소와 분해가 다 되니까 아무리 많이 먹어도 살이 안찌는 거고

병에도 덜 걸리는 거고...

 

그런것에 너무 기는 죽지 마라..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455 0 2015.09.21
14652 외노자 도입 썰도 죄다 갱상도 틀딱들 라떼야그. 국짐당 버러지들. newfile John 26 1 2022.12.22
14651 외국탓 하지말고 씨발 것들아 서울새끼덜의 지방식민지화 통치일 뿐. 레가투스 병신새끼. 1 new John 42 3 2023.10.10
14650 외국자본 엑소더스… 신흥국, 빚의 악순환 1 new 민족주의진짜싫다 202 1 2015.11.24
14649 외국인정책에 있어서 . 1 new 헬조선은언제나아질까? 32 0 2018.09.09
14648 외국인이 한국인을 폭행한 사건을 보고 한국인들이 과민 반응 해서는 안되는 이유 new 노인 69 0 2018.07.08
14647 외국인이 칭찬한 헬조선군대 8 new 헬조선탈출하기 315 6 2017.05.13
14646 외국인이 전화하자 "sorry" ...엉터리 정부 콜센터 4 new 씹센비 186 3 2016.10.03
14645 외국인이 본 한국의 흔한 건설현장 7 newfile 캬..이맛에헬조선삽니다 213 8 2017.07.28
14644 외국인이 보는 서울 공화국 new 노인 40 0 2021.10.05
14643 외국인이 보기에는 한국인들 희안하다고 여긴다 new 노인 13 0 2023.06.03
14642 외국인이 말한 징병 통지서 외국인도 싫어하는 군대갔다온 헬센징 newfile oldanda 78 0 2017.07.19
14641 외국인의 헬조선 운전 경험 9 new 민족주의진짜싫다 445 4 2015.08.30
14640 외국인을 폭행한 헬조선인 new 노인 48 0 2018.07.31
14639 외국인에게까지도 갑질하는 꼰대 클라쓰 10 new 장미애미 502 4 2016.02.20
14638 외국인에게 직접 ‘외국인’이라고 단어 쓰는 것은 명백한 인종 차별이다(퍼옴) newfile 노인 22 2 2018.05.13
14637 외국인앞에 이중적인 헬조선 인간들 4 new rockmuse 278 2 2015.12.17
14636 외국인보다 더 조까튼 역차별 받는 한국 1 newfile John 27 1 2024.04.09
14635 외국인보고 국뽕운운하는 진짜 국뽕좌파 노인 ㅋㅋㅋ new 개혁주의자 48 0 2018.12.11
14634 외국인들이아닌 헬센징들 한테는 거짓말 아닌 팩폭이 답이다 new oldanda 40 0 2017.08.26
14633 외국인들이 헬센징들을 우습게 본다는 증거.!! 3 new 기무라준이치로 280 4 2016.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