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10월 2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되면서 열흘 간의 연휴를 맞게 됐습니다. 그런데 임시공휴일의 경제적 효과는 얼마나 될까요? 432억이다, 2조다, 19조다…언론을 통해서 천차만별의 숫자가 등장하고 있습니다. 보도마다 이렇게 금액이 다른 이유가 뭔지 그리고 또 이런 걸 어떻게 봐야 하는지 확인을 해 봤습니다.

오대영 기자, 우선 432억 원 이게 가장 많이 보도가 된 거죠?

[기자]

432억 원은 한 국책연구기관에서 조사한 결과인데요. 공식은 이렇게 됩니다.

과거에 지출액 통계를 통해서 국내 여행을 하면 1인당 919원을 쓰는 것으로 가정을 했습니다. 여기에 15세 이상 인구 4300만 명을 곱했습니다.

그러면 400억 원이 하루에 나오고요. 여기에 1인당 해외여행을 위해서 국내에서 쓰는 돈을 32억 원으로 계산해서 더하면 432억 원이 나옵니다.

[앵커]

그러니까 이건 여행으로만 생기는 경제효과를 나타낸 거군요.

[기자]

그렇죠. 정확히 말하면 '여행지출액'이고 경제효과 전체를 이렇게 나타낸다는 일부의 보도는 사실이 아닙니다.

[앵커]

그래서 이제 이걸로 임시휴일의 경제효과를 말하기는 좀 무리인 것 같은데요.

 

 

 

[기자]

맞습니다. 이번에는 또 다른 언론에서 보도되고 있는 2조 원이라는 수치를 보겠습니다.

현대경제연구원의 자료입니다.

임시공휴일 하루에 쓰는 전체 금액을 이렇게 추정을 했습니다.

인구의 절반인 2500만 명이 임시휴일에 쉬고 1인당 8만 원씩을 쓴다고 가정을 한 결과입니다.

8만 원은 과거에 임시휴일에 얼마나 썼는지를 설문조사를 해서 물가상승률을 반영 해서 나온 수치입니다.

[앵커]

앞에서 본 자료와는 기준이 다른 거잖아요. 여행뿐만 아니라 하루에 쓰는 모든 금액을 추산한 거군요.

[기자]

그렇죠. 앞서 자료는 여행 지출만 본 것이고 이건 전체 지출을 본 겁니다.

그래서 기준이 더 넓은데 그렇다고 해도 경제효과를 이걸로 말할 수는 없습니다. 민간소비에만 초점을 맞춘 거죠.

이번에는 언론보도 중에서 가장 큰 금액으로 등장하고 있는 19조 원의 근거를 한번 보겠습니다.

앞서 432억 원을 발표했던 그 연구원의 다른 자료인데 이 자료에서는 금액의 단 위부터가 다릅니다.

여기에서는 소비뿐만 아니라 노동의 생산성, 노동자의 만족도까지 금액으로 환산을 해서 총 19조 원의 상승효과가 있다고 봤습니다.

반면에 기업이 부담해야 할 비용은 7조 원으로 나타났는데 그래서 이걸 빼면 순수 하게 늘어나는 하루당 경제효과는 12조 원이라는 게 이 자료의 결론입니다.

하지만 일부 언론에서는 19조 원으로 보도가 되고 있습니다.

[앵커]

그러니까 결국에 지금 언론에서 보도되고 있는 경제효과 수치 중에서 실제로 좀 정확하게 표현하는 건 없다, 찾아보기가 어렵다는 얘기인데 그러면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발표를 한 경제효과는 있습니까?

[기자]

지난해 5월에 발표한 게 있는데 좀 비슷하기는 합니다.

전년 같은 기간 연휴에 비해서 백화점 매출액이 16% 증가했다. 그리고 4대 궁의 입장객 수가 70%, 박물관 입장객 수가 17.3%, 고속도로의 통행량이 8.6% 늘었다라는 건데 하지만 금액으로 나온 자료는 없고 그리고 이 가운데 저 4대 궁, 박물관, 고속도로는 입장료나 통행료가 면제가 됐습니다.

그래서 그 효과를 부각시키는 수치라는 반론도 나왔습니다.

[앵커]

어쨌든 백화점 매출이 늘었으니까 소비가 늘긴 는 거군요.

[기자]

늘기는 늘었죠. 이번에 연휴가 10일잖아요. 그런데 과거에 그러니까 2015년과 16년에는 5월에 임시휴일이 지정된 다음에 연휴가 나흘이었습니다.

이번에는 기간이 2배가 넘게 깁니다. 그래서 경제효과가 더 클 수밖에 없을 거라는 분석이 있는데. 그 결과는 추후 정부의 통계로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오늘은 팩트체크는 미디어비평이 됐습니다. 팩트체크 오대영 기자였습니다.

 

 

정부는 이런거 세워봐야 소용없다. 현장 노동자들은 쌩 일요일 에도 뺑이 치고 특근수당 몇푼 더 주면 그걸로 끝인데.

그렇다고 육체 노동자들은 너무 기죽을 필요는 없음.

 

하루종일 컴퓨터나 다루는 사무직 노동자들은 쉬는날이 많고 남놀때 다놀고 그런 장점은 있다.

한가지 안좋은 점이 있는데 뭔줄 아냐.?

 

똥배나 튀어나온 뚱돼지들이 굴러다닌다는 것이지. 너무 놀아서 운동을 통 안하니까 체지방 축적이 육체 노동자들 보다 더 빠르다는 거쥐.

그러니까 고지혈증 걸리고 당뇨병에 훨씬 더 잘걸린다는 것이다. 그 중에 2030대 성인병 환자도 있다고함.

 

그러면 아무리 육체 노동자들 보다 월급을 더 많이 받아봐야 지들 병원비에 다 써버리는데 어쩌겠냐.

 

사무직 노동자들은 거의 대부분이 뚱돼지들 이다. 사무직에 종사하는 노동자들 보니까 안그렇든.?

 

육체 노동자들은 힘은 들지만 그걸로 지방 연소와 분해가 다 되니까 아무리 많이 먹어도 살이 안찌는 거고

병에도 덜 걸리는 거고...

 

그런것에 너무 기는 죽지 마라..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댓글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443 0 2015.09.21
14741 취업 면접에서 말하기 싫은 사생활 캐묻는 나라는? 2 new 젖깔 175 1 2017.10.07
14740 최면과 사고를 구분하자. 2 new leakygut 91 0 2017.10.08
14739 미국은 슈퍼에서 2 new 김승훈 120 0 2017.10.08
14738 일본인과 문화충격 2 new 김승훈 221 4 2017.10.08
14737 옛날노래가 생각나서.. 2 new 김승훈 71 1 2017.10.08
14736 분노 조절에 도움이 되는 7가지 조언 2 new 점. 125 3 2017.10.09
14735 슈퍼맘 콤플렉스에 걸린 한국 엄마들 2 newfile 노인 233 5 2017.10.09
14734 미신에 대해서 말이 나와서 내 경험 한 번 적어봄. 2 new 베스트프렌드 146 3 2017.10.10
14733 blogs.yahoo.co.jp 여기 들어가봐라. 2 new 기무라준이치로 117 1 2017.10.10
14732 남눈치보고 자기 의견은 표출도 못하는 헬반도 경험담 2 new 김도현 146 1 2017.10.10
14731 와타나베 준이치라는 분에 따르면 요즘 같은 때에는 둔감력이 필요하다던데 2 new 점. 113 1 2017.10.11
14730 한국 최악의 군대 짬밥 2 newfile 노인 260 5 2017.10.11
14729 (밑에글에대한 반박) 인간이 무에서 유를 창조 못한다고?? 2 new 국뽕애국자 106 2 2017.10.11
14728 노예마스터들의 개돼지들 달래주기.info 2 new 슬레이브 218 3 2017.10.11
14727 우울증의 인지 왜곡에 대하여 2 new 점. 698 1 2017.10.11
14726 헬센징 언제 버프받냐? 너무 무쓸모 캐릭인디 2 newfile leakygut 112 0 2017.10.11
14725 대한민국 대기업 의 졸렬함 2 new 생각하고살자 772 7 2017.10.13
14724 남한산성 씨발 내로남불 개새끼들아 2 new 생각하고살자 150 2 2017.10.13
14723 개한민국 서민에 비하면 히틀러는 천사지 2 new 생각하고살자 200 7 2017.10.13
14722 헬조선 에서는 죽는 유형이 딱 두가지다. 2 new 기무라준이치로 262 2 2017.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