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韓銀, 금융안정보고서 국회 제출]
- 고위험 가구 부채 4조7000억 급증
채무자 10명 중 1명이 5년치 소득 다 모아도 빚 못갚아
- 베이비붐 세대·고령화가 '뇌관'
54~62세 가구당 5800만원 빚.. 보험사·카드사도 후폭풍 우려

 

한국은행은 22일 "대출금리가 0.5%포인트 상승하면 소득과 자산에 비해 빚이 많은 '고위험 가구'의 부채가 62조원에서 66조 7000억원으로 7.6%(4조 7000억원) 급증할 것"이라고 밝혔다.

금리 0.5%p만 올라도 31만가구 위험해진다.jpg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기준금리 인상과 보유자산 축소 계획 발표, 그리고 이주열 한은 총재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 언급으로 금리상승이 예고된 상황에서, 한은이 가계부채 문제에 대해 미리 '경고등'을 켠 것이다.

한은은 이날 금융통화위원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금융안정보고서'를 의결한 뒤 국회에 제출했다. 한은 관계자는 "이 총재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 발언에 이어 금융안정보고서를 통해 금리 상승에 따른 부담을 구체적으로 언급함으로써 한은이 금리 인상을 향해 한 걸음 다가선 셈"이라고 말했다.

◇"대출금리 1.5%포인트 오르면 고위험가구 부채 15조원 증가"

한은은 금리 상승에 따라 가계부채 부담이 급증할 계층으로 '고위험 가구'를 손꼽았다. 고위험 가구는 소득의 40% 이상을 부채 원리금 상환에 쓰고 있고, 부채가 자산보다 많은 가구를 뜻한다. 작년 말 기준 고위험 가구는 31만5000가구, 이들의 부채는 62조원이었다. 지난 2015년과 비교하면, 고위험 가구의 부채는 1년 사이에 15조6000억원(33.6%) 늘었다. 한은은 대출금리가 1.5%포인트 오르면 고위험 가구가 37만5000가구로, 이들의 부채가 76조6000억원으로 각각 늘어날 것으로 분석했다. 한은 관계자는 "이렇게 되면 고위험 가구당 부채가 2억400만원쯤 된다"고 밝혔다. 한은은 또 대출금리가 1%포인트, 0.5%포인트 각각 상승할 때 고위험 가구의 부채는 각각 9조2000억원, 4조7000억원씩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한은은 1360조원을 돌파한 가계부채의 양(量)뿐 아니라 질(質)에도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부채가 소득의 몇 배인지를 나타내는 '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작년에 200%를 돌파했기 때문이다. 2년 동안 벌어들인 돈을 모두 빚 갚는 데만 쓰더라도 빚을 다 갚지 못한다는 얘기다. 한은 관계자는 "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 500% 이상인 채무자 비중이 해마다 늘고 있는 것도 문제"라고 했다. 이렇게 5년 치 소득을 다 모아도 부채를 청산할 수 없는 채무자가 빚을 진 채무자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2013년(6.2%) 이후 2014년(6.8%), 2015년(8%), 2016년(9.5%) 등 연속 3년 증가했다. 이 비율은 올해 3월 말엔 9.7%로 더 올라갔다. 채무자 10명 중 1명이 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 500% 이상인 셈이다.

◇베이비붐 세대, 고령화 등 가계부채의 뇌관들

한은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국은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감소했는데, 우리나라만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런 가계부채 '역주행' 현상에 대해 한은 관계자는 "베이비붐 세대와 고령화가 가계부채의 뇌관"이라며 "우리 경제의 구조적 문제라 대응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현재 54~62세인 베이비붐 세대의 가구당 금융부채는 5800만원으로 다른 가구(4400만원)보다 많다.

복지가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자 50~60대가 노후 대비를 위해 자영업과 부동산 임대업에 뛰어들고 있는 것도 가계부채 확대의 원인이라고 한은은 풀이했다. 작년 말 자영업자 대출은 650조원으로 추산되며, 경기가 나빠지거나 부동산값이 떨어질 경우 연체나 부도 위험이 크다.

◇가계부채 부실의 '후폭풍'에 취약한 2금융권

한은은 금리 상승의 여파로 가계부채에서 연체, 부도 등이 발생할 경우 보험사, 카드사 등에 '후폭풍'이 불어닥칠 것으로 전망했다. 보험사의 경우 저금리 시기에 채권 보유를 늘렸는데, 앞으로 금리가 올라가면 채권 가격은 떨어지게 된다. 시장금리가 1.5%포인트 상승하면 국내 보험사들은 28조6000억원의 채권평가 손실을 보는 것으로 한은은 추산했다. 카드사들도 그동안 카드 대출을 늘리면서 저소득·저신용 채무자 비중이 커지고 연체율도 높아진 상황이다. 금리 상승으로 연체율이 더 올라간다면 카드사에 타격이 될 수 있다. 반면 은행들은 금리 상승에 따라 부실 채무가 생겨도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한은은 분석했다. 대출 금리가 오르면 이자 이익이 늘어나 손실을 상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댓글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455 0 2015.09.21
12513 최근 일본에서 옥시 가습기 살균제 사건 특집방송을 방영. 1 new 아라카와방울뱀 195 6 2016.07.30
12512 선별적 복지와 보편적 복지 1 new 헬조선의커비 244 2 2016.07.30
12511 비공식 서울시 로고 제작자 마인드.jpg 1 newfile NickiMinaj 294 2 2016.07.31
12510 헬조선인의 기본 능력은 북한을 보면 답나옴.. 1 new 케이스워커 221 5 2016.08.01
12509 헬조선 불면증 환자 증가. 1 new 기무라준이치로 354 5 2016.07.31
12508 명불허전 헬조선 게임클라스 1 new 곰발바닥 353 6 2016.08.01
12507 헬조선 게시판 이용자 분들을 위한 소설! 꼭 읽을 필요는 없음! 1 new 다프 209 0 2016.07.31
12506 학창시절 극기훈련은 개똥이었어 1 new 기행의나라=헬조선 192 3 2016.08.01
12505 박근혜 키즈..이준석 팩트폭력.jpg 1 newfile 잭잭 222 6 2016.11.15
12504 일본 신사는 진짜 좋겠다. 1 new 루디스 281 2 2016.08.02
12503 헬조선인중 범죄피해자는 2차 가해가 더 무섭군요.. 1 new 나도한마디 167 5 2016.08.02
12502 역시 헬국내여행은 할게 못됨. 1 new 이넘의헬 263 2 2016.08.02
12501 자살하고싶다면 이글을봐라 1 new 생각하고살자 285 3 2016.08.03
12500 헬조센인들의 일상 1 new 생각하고살자 200 7 2016.08.03
12499 나는 무엇보다 해리 해리슨을 낳은 어머니에게 경의를 표하고 싶다. 1 new 기행의나라=헬조선 263 2 2016.08.03
12498 초등생 학원서 '이상한 죽음'.."집단괴롭힘 당했다" 1 new 플라즈마스타 140 7 2016.08.04
12497 천조국 대통령의 딸 1 newfile 이넘의헬 162 3 2016.08.05
12496 헬징들의 상식 1 newfile UnleashHell 156 3 2016.08.04
12495 애초에 헬조센은 멸망하는길 밖에 없었다 1 new 생각하고살자 130 2 2016.08.04
12494 내일이 오지 않기를(시 1 new 생각하고살자 134 1 2016.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