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부산=연합뉴스) 김재홍 기자 = "공원인지 쓰레기장인지..."

바다와 휴식공간이 결합한 국내 최초의 수변공원인 부산 수영구 민락수변공원이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다.

더위를 피해 찾아온 관광객과 시민이 음식을 먹거나 술을 마신 뒤에 뒤처리하지 않고 그냥 떠나기 때문이다.

4일 부산 수영구에 따르면 최근 민락수변공원에서 발생하는 하루 평균 쓰레기의 양은 1천ℓ 용량 마대 40장 규모다. 주말에는 최소 2배 이상 늘어난다.

지난 4월 초만 하더라도 평일 하루 쓰레기 발생량은 1천ℓ 용량 마대 4장에 불과했다

 

R658x0.jpg

[부산 수영구청 제공=연합뉴스]

현장에서 수거되는 쓰레기는 먹다 남은 음식물은 물론 돗자리, 술병, 플라스틱 물통, 나무젓가락 등 다양하다.

매일밤 북적이는 민락수변공원은 다음 날 아침이면 널브러진 쓰레기와 비틀거리는 취객만 남은 부끄러운 민낯을 드러낸다.

축구장 4개 정도의 면적인 공원을 뒤덮은 쓰레기를 치우는 건 기간제 근로자와 환경미화원의 몫이다.

기간제 근로자들은 매일 오후 8시부터 다음날 오전 2시까지 공원 곳곳을 다니며 쓰레기를 분리수거한다.

환경미화원들은 다음날 오전 4시부터 투입된다. 쓰레기의 양이 워낙 많아 작업을 마치는 데에 평일 기준으로 4시간 넘게 걸린다.

민락수변공원에서는 매년 이맘때부터 8월 말까지 이런 상황이 반복되지만 관할 수영구는 뾰족한 대책이 없다.

명칭은 공원이지만 법적으로 호안시설로 분류돼 음식물을 먹는 것을 막을 수가 없다.

쓰레기 무단 투기로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지만 사법권이 없는 공무원이 상대의 신분증을 확인하고 행정처분을 내리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데다 잠시 자리를 비우는 것이라고 변명하면 사실 관계를 확인할 길이 없다.

게다가 상대가 민원 게시판에 불만 제기 등 항의를 하면 그 책임의 대부분은 담당 공무원에게 돌아갈 수밖에 없다.

간혹 기간제 근로자나 환경미화원이 취객에게 쓰레기 정리를 당부하다 멱살을 잡히는 일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영구는 고육지책으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현장에서 민락수변공원 전용 쓰레기봉투를 무료로 배포한다.

주황색인 이 쓰레기봉투(10ℓ 용량)는 가로 33㎝, 세로 56㎝ 크기로 쓰레기를 담아주기만 하면 수영구가 알아서 처리한다.

수영구청 관계자는 "모두가 사용하는 공간을 쾌적하게 사용하려는 시민 의식이 없이는 매년 반복될 수밖에 없는 일"이라며 관심과 참여를 당부했다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63493 0 2015.09.21
12003 평창 올림픽에 관한 외신 기사 본 한국인들 반응 newfile 노인 162 0 2018.06.09
12002 북한의 다민족사회에 대한 혐오(퍼옴) 3 new 노인 149 1 2018.06.09
12001 명백한 팩트를 무시하는 한국인들 2 newfile 노인 208 1 2018.06.09
12000 환빠들 부들 거라는 기사 발견(Uriginal 말이 맞네) 1 new 노인 223 0 2018.06.09
11999 20년 전에도 "동성애 반대한다"고 말한 후보는 없었다. 4 new 소수자민주주의 144 1 2018.06.09
11998 개좆같은 서울민국 만세 !!!!!!!!!! 2 newfile CARCASS 230 2 2018.06.09
11997 헬꼰대 세뇌작전 실패 현장 4 newfile CARCASS 262 4 2018.06.09
11996 투누우 newfile 가이우스옥타비아누스 160 0 2018.06.09
11995 유엔 학생 '성적 지향'에 따른 차별 금지하라” - 한국의 아동 인권 침해 new 노인 178 0 2018.06.09
11994 [논쟁]한터여종사자연맹 대표 VS 한국여성단체연합 사무총장(퍼옴) new 노인 144 0 2018.06.09
11993 미군 위안부는 처리 할 생각을 안하면서 성노동자들의 권리를 뺏는 여성가족부 1 new 노인 152 2 2018.06.10
11992 이놈의 이산가족 감성팔이에 대해(퍼옴) newfile 노인 143 0 2018.06.10
11991 뷰티 유튜버들의 탈코르셋 보고 느낀점 1 new 노인 339 2 2018.06.10
11990 미국 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의 대북관 공감대 형성. 9 new 소수자민주주의 190 2 2018.06.10
11989 폭스바겐이 대중차란 의미라던데, 독일인들한텐 폭스바겐이란 브랜드 및 이름 어케 느껴짐?. 2 newfile 초고등영혼대천재쇼군 154 0 2018.06.11
11988 제너럴모터스는 일반차임? 이건 영어권 사람들에게 어케 느껴짐?? 1 newfile 초고등영혼대천재쇼군 341 0 2018.06.11
11987 한국 불교에서 나타난 교리 왜곡을 꾸짖은 스님 new 노인 187 0 2018.06.11
11986 불교를 통해 평등사회를 추구하려고 했던 암베드카르 박사 3 new 노인 169 0 2018.06.11
11985 대기업 알바직까지 경쟁하는 2030…"공채 가산점 때문" 1 new 노인 190 1 2018.06.11
11984 한민족의 역사와 북한의 의미 1 new DireK 405 1 2018.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