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18180256-14B8-4BBF-A178-1BAC135C761D-4052-000001030A52D0D2.jpeg

 

[전홍기혜 기자의 '세 가지'] 필립의 안타까운 죽음

[전홍기혜 기자]

 

미국으로 입양됐던 입양인이 지난 21일 밤 경기도 일산의 한 아파트 건물 앞에서 숨진 채로 발견됐다. 

고(故) 필립 크래이(42) 씨. 경찰 조사에 따르면, 그는 이날 밤 혼자 엘리베이터를 타고 올라가 14층 높이에서 투신 자살했다. 열살 때 미국으로 입양된 그는 한국으로 돌아와 왜 극단적인 선택을 할 수 밖에 없었을까?

필립은 미국으로 간지 27년 만인 2012년, 한국으로 추방됐다. 미국 양부모들이 필립의 시민권 획득 절차를 밟지 않아 시민권을 얻지 못했기 때문이다. 미국으로 입양된 입양인이 시민권을 얻지 못해 본국으로 추방되는 경우는 필립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2011년 이태원에서 노숙자로 발견됐던 팀도 미국 시민권을 획득하지 못해 한국으로 추방된 케이스였다. (관련기사 : 미국 입양된 아이가 34년만에 이태원 노숙자로 발견된 사연) 지난 2001년 입양과 동시에 미국 시민권을 취득할 수 있도록 미국 시민권 취득에 대한 법이 개정됐지만, 그 이전에 입양된 아동들은 양부모가 시민권 취득 절차를 밟지 않아 '무국적자'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2012년 보건복지부의 발표에 따르면, 한국전쟁 이후 미국으로 입양된 11만 명의 입양인 중 1만8000여 명이 시민권을 획득하지 못했다.

한국으로 강제 추방된 이후에도 필립의 삶은 녹록치 않았다. 국적만 겨우 회복했을 뿐 한국은 그에게 '고국'이 아닌 '타국'이었다. 말도 모르고, 가족은 커녕 아는 사람조차 없는 한국에 그가 순탄히 적응하기를 기대하는 건 억지에 가까운 얘기다. 필립은 정신병원에 강제 입원되기도 했다. 출생가정, 입양가정, 성인이 되어 다시 찾은 한국사회까지, '세 번의 버림'을 받은 그에게 주어진 선택지는 결코 많지 않았다. 

필립의 장례식은 일산의 한 병원에서 치러졌다. 입양기관인 홀트아동복지회, 보건복지부 산하의 중앙입양원 등이 주관했다. '해외입양인연대' 에이케이 샐링 사무국장은 필립의 죽음에 대한 보도자료를 내고 "필립의 자살은 우리가 같은 상황이기 때문에 우리에게 깊은 영향을 미친다. 그는 고통을 덜기 위해 홀로 죽는 것 이외의 방법을 찾을 수 없었다"고 애도했다. 그의 장례식엔 아이를 입양 보낸 한 어머니가 참석하기도 했다고 한다. 그가 죽음을 선택할 수 밖에 없었던 아픔을 입양인과 그 가족들은 자신의 것으로 깊이 공감하고 있다.   

해외입양인들을 위한 비영리 민간단체인 '뿌리의 집'의 시몬 하우츠 국제협력팀장은 "입양인들 다수가 한국말을 모르기 때문에 홀트와 복지부 관계자들에게 24일 가진 필립의 추도식을 영어로 진행하거나, 영어로 통역해달라고 요청했으나 처음에는 거절당했다가 이후에야 승낙을 받았다"며 안타까움을 표했다. 

시몬은 이 문제를 그저 "슬픈 이야기로만 접근하지 말아달라"고 요구했다. 이는 한국의 입양 시스템의 문제라는 것. 시몬은 입양인의 국적 취득 문제는 일차적으로 아이를 일단 입양 보내면 끝이라고 생각하는 한국의 입양기관과 한국 정부에 있다고 지적했다. 또, 자신의 국내 정치적 입지를 위해 이주자들의 해외 추방을 활용할 가능성이 높은 트럼프 정부에서 제2, 제3의 필립은 계속 생겨날 수 있다.  

"한국은 가장 오래된 입양 송출국 중 하나이지만, 입양에 대한 정책과 시스템은 매우 느리게 변하고 있다. 한국 정부는 성인이 돼 한국으로 돌아온 입양인들의 목소리에 전혀 귀를 기울이지 않는다. 당사자인 이들을 입양 정책 파트너로 인정해야 한다.

또 미국을 비롯해 한국 아이를 입양하는 스웨덴, 덴마크, 네덜란드 등 입양 국가들도 왜 한국 아이를 입양하는지에 대해 다시 생각해봤으면 좋겠다. 한국은 더이상 자국의 아이를 키우기 어려울 정도의 저개발국가가 아니다. 2015년에도 여전히 300여 명의 아이가 해외로 입양됐다."

한국은 한국전쟁 직후인 1950년대부터 해외입양을 보내 2016년까지 16만6512명의 아동을 해외로 입양보냈다. 2010년까지만 해도 한 해 1000명이 넘는 아동을 해외로 입양보내다가 그나마 많이 줄어 2016년 334명의 아동이 해외로 보내졌다. 절대적인 숫자는 줄었지만, 비중은 여전히 전체 입양아동의 40%다. (보건복지부 통계) 반세기 넘는 시간 동안 해외로 축출된 아동은 '잊혀진 아이들'이자, '잊혀진 역사'였다.

 

김대중 정부 들어 처음으로 해외 입양인들을 청와대로 초청해 정권 차원에서 16만 명의 입양인들에게 공식 사과했다. 노무현 정부에서는 김근태 당시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난 2005년 국정감사에서 "앞으로 4-5년 후 해외입양을 폐지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었다. 이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다. 

 

시몬은 "문재인 정부에서는 입양 정책에 대한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 입양인의 안타까운 죽음을 바라보는 입양인들의 슬픔, 또다시 '잊혀진 역사'로 만들어선 안 된다.    

 

 

 

일뽕만 없어지면 앞으로 이런 정보 함께 공유해준다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444 0 2015.09.21
12068 실업·기업파산…주요 경제지표 '외환위기 수준' 줄줄이 추락 3 new 공기정화 181 3 2016.09.25
12067 실업 급여가 싫다는 어느 정치인 newfile 노인 14 0 2023.07.13
12066 실시산 영등포역 타임스퀘어 앞 날씨.JPG 3 newfile 우울반항극단적절대주의 200 1 2017.05.13
12065 실시간 간첩들... 4 new 잭잭 323 2 2015.08.10
12064 실시간 5호선..대참사.jpg new 헬조선 844 0 2015.06.23
12063 실습생은 기계인가 3 new KAKAO 172 5 2015.12.28
12062 실수해도 괜찮음 넘어져도 다시 일어나면 그만 1 new leakygut 97 4 2017.09.19
12061 실수요자는 얼마나 될까? 자기집마련에 강한 소유욕 만큼이나 투기욕도 강하지 이 미친 시장을 누가 끝낼수 ... 4 new 봊이 198 1 2021.12.05
12060 실상 미국은 전대갈과 그 군국주의 무리들을 지지하고 있는 것이지. newfile John 39 0 2023.08.26
12059 실리콘밸리은행 파산 new 킹석열 5 0 2023.03.12
12058 실리콘밸리 은행이 쳐 망한 것 또한 캘리포니아주의 사막화에 대한 리스크까지 반영한 탓. new John 19 0 2023.04.06
12057 실리콘 밸리의 ㅅㅅ 파티 vs 한국의 회식 문화 6 new 노인 211 0 2018.07.01
12056 실력없고 기본 안되잇으면서 통역일 하는애들 많음??.txt newfile 초고등영혼대천재쇼군 53 0 2018.03.10
12055 실내에서 신발벗을까 가지고 논쟁하는 영상을 올리는 바보가 있네 new 노인 14 0 2024.05.31
12054 신흥 기득권 세력과 구 기득권 세력 사이의 투쟁 3 new 봊이 31 1 2021.11.30
12053 신화의 나라 헬조센 new 조낸패자 82 1 2017.05.04
12052 신화의 나라 헬조센 18 new 센아이덴티티 326 7 2017.05.10
12051 신혼부부연합회 별의별 어휴 미개한 결혼풍습 바꿀 생각ㅈ도 없고 방역 형평성만 탓하는 수준들 new 헬조센극혐 22 1 2021.08.19
12050 신해철이 보는 복지 newfile 노인 20 0 2022.09.16
12049 신한국당이야 말로 경상도의 적이다. 이 개새끼덜을 용납해야 되나. 그렇지 않다고 본다. 3 new DireK 177 4 2018.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