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18180256-14B8-4BBF-A178-1BAC135C761D-4052-000001030A52D0D2.jpeg

 

[전홍기혜 기자의 '세 가지'] 필립의 안타까운 죽음

[전홍기혜 기자]

 

미국으로 입양됐던 입양인이 지난 21일 밤 경기도 일산의 한 아파트 건물 앞에서 숨진 채로 발견됐다. 

고(故) 필립 크래이(42) 씨. 경찰 조사에 따르면, 그는 이날 밤 혼자 엘리베이터를 타고 올라가 14층 높이에서 투신 자살했다. 열살 때 미국으로 입양된 그는 한국으로 돌아와 왜 극단적인 선택을 할 수 밖에 없었을까?

필립은 미국으로 간지 27년 만인 2012년, 한국으로 추방됐다. 미국 양부모들이 필립의 시민권 획득 절차를 밟지 않아 시민권을 얻지 못했기 때문이다. 미국으로 입양된 입양인이 시민권을 얻지 못해 본국으로 추방되는 경우는 필립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2011년 이태원에서 노숙자로 발견됐던 팀도 미국 시민권을 획득하지 못해 한국으로 추방된 케이스였다. (관련기사 : 미국 입양된 아이가 34년만에 이태원 노숙자로 발견된 사연) 지난 2001년 입양과 동시에 미국 시민권을 취득할 수 있도록 미국 시민권 취득에 대한 법이 개정됐지만, 그 이전에 입양된 아동들은 양부모가 시민권 취득 절차를 밟지 않아 '무국적자'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2012년 보건복지부의 발표에 따르면, 한국전쟁 이후 미국으로 입양된 11만 명의 입양인 중 1만8000여 명이 시민권을 획득하지 못했다.

한국으로 강제 추방된 이후에도 필립의 삶은 녹록치 않았다. 국적만 겨우 회복했을 뿐 한국은 그에게 '고국'이 아닌 '타국'이었다. 말도 모르고, 가족은 커녕 아는 사람조차 없는 한국에 그가 순탄히 적응하기를 기대하는 건 억지에 가까운 얘기다. 필립은 정신병원에 강제 입원되기도 했다. 출생가정, 입양가정, 성인이 되어 다시 찾은 한국사회까지, '세 번의 버림'을 받은 그에게 주어진 선택지는 결코 많지 않았다. 

필립의 장례식은 일산의 한 병원에서 치러졌다. 입양기관인 홀트아동복지회, 보건복지부 산하의 중앙입양원 등이 주관했다. '해외입양인연대' 에이케이 샐링 사무국장은 필립의 죽음에 대한 보도자료를 내고 "필립의 자살은 우리가 같은 상황이기 때문에 우리에게 깊은 영향을 미친다. 그는 고통을 덜기 위해 홀로 죽는 것 이외의 방법을 찾을 수 없었다"고 애도했다. 그의 장례식엔 아이를 입양 보낸 한 어머니가 참석하기도 했다고 한다. 그가 죽음을 선택할 수 밖에 없었던 아픔을 입양인과 그 가족들은 자신의 것으로 깊이 공감하고 있다.   

해외입양인들을 위한 비영리 민간단체인 '뿌리의 집'의 시몬 하우츠 국제협력팀장은 "입양인들 다수가 한국말을 모르기 때문에 홀트와 복지부 관계자들에게 24일 가진 필립의 추도식을 영어로 진행하거나, 영어로 통역해달라고 요청했으나 처음에는 거절당했다가 이후에야 승낙을 받았다"며 안타까움을 표했다. 

시몬은 이 문제를 그저 "슬픈 이야기로만 접근하지 말아달라"고 요구했다. 이는 한국의 입양 시스템의 문제라는 것. 시몬은 입양인의 국적 취득 문제는 일차적으로 아이를 일단 입양 보내면 끝이라고 생각하는 한국의 입양기관과 한국 정부에 있다고 지적했다. 또, 자신의 국내 정치적 입지를 위해 이주자들의 해외 추방을 활용할 가능성이 높은 트럼프 정부에서 제2, 제3의 필립은 계속 생겨날 수 있다.  

"한국은 가장 오래된 입양 송출국 중 하나이지만, 입양에 대한 정책과 시스템은 매우 느리게 변하고 있다. 한국 정부는 성인이 돼 한국으로 돌아온 입양인들의 목소리에 전혀 귀를 기울이지 않는다. 당사자인 이들을 입양 정책 파트너로 인정해야 한다.

또 미국을 비롯해 한국 아이를 입양하는 스웨덴, 덴마크, 네덜란드 등 입양 국가들도 왜 한국 아이를 입양하는지에 대해 다시 생각해봤으면 좋겠다. 한국은 더이상 자국의 아이를 키우기 어려울 정도의 저개발국가가 아니다. 2015년에도 여전히 300여 명의 아이가 해외로 입양됐다."

한국은 한국전쟁 직후인 1950년대부터 해외입양을 보내 2016년까지 16만6512명의 아동을 해외로 입양보냈다. 2010년까지만 해도 한 해 1000명이 넘는 아동을 해외로 입양보내다가 그나마 많이 줄어 2016년 334명의 아동이 해외로 보내졌다. 절대적인 숫자는 줄었지만, 비중은 여전히 전체 입양아동의 40%다. (보건복지부 통계) 반세기 넘는 시간 동안 해외로 축출된 아동은 '잊혀진 아이들'이자, '잊혀진 역사'였다.

 

김대중 정부 들어 처음으로 해외 입양인들을 청와대로 초청해 정권 차원에서 16만 명의 입양인들에게 공식 사과했다. 노무현 정부에서는 김근태 당시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난 2005년 국정감사에서 "앞으로 4-5년 후 해외입양을 폐지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었다. 이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다. 

 

시몬은 "문재인 정부에서는 입양 정책에 대한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 입양인의 안타까운 죽음을 바라보는 입양인들의 슬픔, 또다시 '잊혀진 역사'로 만들어선 안 된다.    

 

 

 

일뽕만 없어지면 앞으로 이런 정보 함께 공유해준다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73382 0 2015.09.21
11843 호주국자 근황 new 노인 187 0 2018.06.30
11842 늘어나는 자살자들 newfile leakygut 228 0 2018.06.30
11841 고구려와 한민족의 관계 3 newfile DireK 219 1 2018.06.30
11840 대기업 들을 절대로 좋게 보지만은 말아라.! new 기무라준이치로 199 0 2018.06.30
11839 대기업 이제 그건 뿔이 되어서 제발 없어져라고 기도를 해도 사라질까 말까인 것이 된 것이다. new DireK 199 1 2018.06.30
11838 한국은 조선과 일절 관계 없다 5 new Uriginal 228 0 2018.06.30
11837 한국은 집회의 자유를 허용 하라 13 new 노인 158 0 2018.06.30
11836 [세계반응] 한국인들이 주에 52시간 일한다고? 근로시간 단축 외국인들의 생각들. 1 new 기무라준이치로 256 0 2018.06.30
11835 대만에 친일파가 많은 진짜 이유(8분순삭 ver) new 기무라준이치로 216 0 2018.06.30
11834 한국이 자유 + 민주주의 국가가 아닌 이유 3 new 노인 413 1 2018.06.30
11833 한국 정부가 트럼프의 보호무역 정책에 대해 욕할 자격이 없는 이유 1 new 노인 170 1 2018.06.30
11832 얼마전에 터진 부동산대출 금리문제 이건 매우 심각한거다. 재섭으면 임기내에서 터진다는거야. 3 new DireK 291 4 2018.06.30
11831 헬조선에서 살아가면서 내 자신이 지키는것 1 new 서호 232 3 2018.06.30
11830 한국 여성의 눈썹 모양 유행 1 new 노인 219 0 2018.07.01
11829 한국에서 뭔가가 유행하면 new 노인 179 0 2018.07.01
11828 한국의 악습 new 노인 192 0 2018.07.01
11827 양심적 병역거부자 이예다의 대체 복무제에 대한 입장 2 new 노인 218 0 2018.07.01
11826 대다수 사람 운운 하는 것은 극우의 논리다 1 new 노인 200 1 2018.07.01
11825 결국 지방만 망해 ㅋㅋㅋ 2 new DireK 214 4 2018.07.01
11824 완벽주의를 버릴 필요가있다 newfile leakygut 171 0 2018.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