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충분히 긴 시간이 주어질 때 과학자들이 가장 하고 싶은 연구 2012년 9월 6일

 

한 사람의 일생은 연구에 충분한 답을 구하기에는 아주 짧은 시간입니다.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은 과학자들에게 영원한 시간이 주어질 때 가장 하고 싶은 연구 13가지를 보여주고 선택하게 했습니다.

 

가장 많이 골라진 연구 건은 21%의 과학자들이 선택했는데,

“인간이 자원과 에너지를 모두 잃게 되었을 때 정말 부족사회로 돌아가 끊임없는 소규모 투쟁을 벌이게 될 것인가” 였습니다.

 

그 다음은 세 종류의 연구가 모두 15% 의 과학자들에 의해 선택되었습니다.

그것은 “무수히 많은 미생물실험을 통해 어떻게 생명이 시작되었는지를 알아보는 연구”

“원숭이의 인지능력을 계속 강화시키는 진화를 시켰을 때 어디까지 발달할 수 있을 것인가”,

그리고 “인간의 주요 질병들에 대해 인간의 유전자가 어떻게 적응할 것인가” 였습니다. (Scientific American)

 

1.png

 

https://www.scientificamerican.com/article/methuselah-science-what-would-you-study-lived-forever-poll/

================================================================================================

 

나라별 인종차별 지수, 한국은 최하위권 2013년 5월 21일

 

두 스웨덴의 경제학자들이 경제 발전과 인종차별의 관계를 연구하면서 인종 차별 의식을 수치화 할 필요를 느껴 만들어진 게

세계가치관조사(World Values Survey)입니다. 경제 발전과 인종차별은 큰 관계가 없다는 결론이 나왔지만,

이 과정에서 생산된 차별 지수를 들여다보는 것만으로도 흥미로운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 영국,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 앵글로족 국가와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이 전반전으로 더 관대한 태도를 보여줍니다. 북유럽도 마찬가지입니다. 베네수엘라만 예외적으로 인종 차별 지수가 높았는데 부의 불평등 문제와 인종 문제가 섞여있기 때문으로 판단됩니다.

 

– 인도, 요르단, 홍콩이 인종차별 지수가 가장 높았는데, 설문 응답자의 40% 이상이 다른 인종과 이웃으로 살고 싶지 않다고 대답했습니다. 특히 홍콩은 이 수치가 71.8%에 달했습니다.

 

– 유럽내에서도 편차가 심한데, 의외로 프랑스가 덜 관용적이고, 구소련 국가인 벨라루스, 라트비아 등이 열린 태도를 보여주었습니다. 높은 소득과 교육수준을 자랑하는 서유럽이 동유럽보다 나은 결과를 보여줄 것으로 기대했으나 결과는 예상과 달랐습니다.

 

– 아시아는 전반적으로 인종차별 지수가 높았는데,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전통적으로 다양한 인종이 섞여살던 국가들이 인종차별이 심했습니다. 중국, 키르히스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도 마찬가지 패턴을 보여주었습니다.

 

– 파키스탄이 다른 인종에 관대한 건 의외입니다. 인근 지역 국가들 모두 인종차별이 심하고 경제발전이 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6.5%의 파키스탄인 만이 다른 인종과 이웃으로 살고 싶지 않다고 대답했습니다. 이는 독일이나 네덜란드보다도 낮은 지수입니다.

 

인종차별이 심한 한국은 특이한 사례(Outlier)입니다. 소득수준과 교육수준이 높고, 평화로우며, 단일민족인 국가가 관용도가 낮은 건 매우 의외입니다. 한국인의 1/3 이상이 다른 인종과 이웃에 살고 싶지 않다고 대답했습니다. B.R.Myers는 한국인이 단일민족이라는 것을 국가적 정체성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일지도 모른다고 풀이합니다. 최근 동남아 이민자의 유입으로 인한 사회문제, 일본과의 뿌리깊은 대치관계도 원인으로 판단됩니다. (Washington Post紙)

 

2.png

 

ttps://www.washingtonpost.com/news/worldviews/wp/2013/05/15/a-fascinating-map-of-the-worlds-most-and-least-racially-tolerant-countries/

 

<조사방법의 문제점 제시>

https://www.washingtonpost.com/news/worldviews/wp/2013/05/17/5-insights-on-the-racial-tolerance-and-ethnicity-maps-from-an-ethnic-conflict-professor/

===============================================================================================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1112 0 2015.09.21
11803 카우치 사건을 재조명 해야 하는 이유 newfile 노인 306 0 2018.07.10
11802 한국에 퀴어 퍼레이드가 존속되어야 하는 이유 newfile 노인 584 0 2018.07.10
11801 50-60년대의 황금기와 베이비부머를 보고 느낀 점 newfile 노인 276 0 2018.07.10
11800 부산에서의 후기 3 new 서호 324 2 2018.07.10
11799 자한당이 경상도에서는 발붙일것 같지? ㅋㅋㅋㅋ new DireK 230 2 2018.07.10
11798 소위 "소아 성애" 가 범죄화 및 터부시 된 이유가 뭐냐? 4 new edrkczo 278 1 2018.07.11
11797 점차 세계화가 되어서 new 노인 195 0 2018.07.11
11796 정치탓 좀 하지마라 이 븅신덜아 민주주의가 끝나긴 뭘 끝났다고 지랄지랄. 3 new DireK 295 4 2018.07.11
11795 생존 신고 12 new 헬조선중딩 276 2 2018.07.11
11794 한국은 다민족 국가다 new Uriginal 288 1 2018.07.11
11793 반값 등록금은 충분히 가능하다. new DireK 238 2 2018.07.11
11792 워마드의 만행 기사(종교 범죄) 1 new 노인 263 0 2018.07.12
11791 한국의 근본적인 폐단을 말하자면 이거지. 4 newfile DireK 460 3 2018.07.12
11790 헬지구를 헤븐지구로 만드는 최대 사명은 짱깨 때려잡는 것이다 7 new Uriginal 261 1 2018.07.12
11789 헬조선 센징들의 허세심리. 3 new 서호 295 1 2018.07.12
11788 남괴군 육방부는 죄다 허세와 거짓으로 점철된 기만조직이다. 2 new DireK 543 2 2018.07.12
11787 한국인의 레깅스 패션에 대해 관점은 정말 이상하다 3 newfile 노인 810 0 2018.07.12
11786 해외 힙합 가수들 보면 Sagging pants(sagging trousers)를 간혹 볼 수 있는데 newfile 노인 210 0 2018.07.12
11785 한국인서울의 인종문제와 현정치상 new DireK 313 2 2018.07.12
11784 혐오 조장하는 한국의 개독교 new 노인 224 0 2018.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