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노인
17.03.17
조회 수 140
추천 수 0
댓글 4








'3.1운동 민족대표’ 33인의 진실
-역사기술의 제1원칙은 ‘과유불급’


요즘 ‘3.1운동 민족대표’ 33인에 대한 진실 논란이 있다는 소식을 들었다. 역사는 정확할수록 좋다. 역사 기술에도 과유불급의 원칙이 적용돼야 한다. 부당한 폄훼나 부당한 미화는 똑같이 나쁘다는 것이다. 이에 부응하여 3.1운동과 민족대표 33인에 대한 진실을 밝힌다.

1489734740.jpg

 

1919년 이른바 민족대표 33인은 주로 계몽주의 지식인과 종교인들이었다. 그들이 스스로 내세운 명분은 ‘비폭력 평화주의’였다. 그런데 과연 그들의 말대로 조선 민중은 피를 흘리지 않았는가? 정녕 누구를 위한 비폭력이었으며 무엇을 위한 질서 존중이었는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선언서에 서명한 33인을 ‘민족대표’라고 상찬하여 부를 수 있는 것인지도 다시 생각해 볼 일이다.

‘민족대표 33인’이 조선총독부의 무단정치가 빚은 공포 분위기에서 자금을 조달하고 선언서를 작성, 배포한 것은 선구적인 구국 행위였다고 할 수 있다. 그들의 선구적인 활동이 전국 운동의 기폭제가 된 것 또한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그들의 행동은 순수했는지, 이를 테면 그들의 행동에 혹여 매명 욕구나 소영웅주의는 개입되어 있지 않았는지의 문제도 함께 논의되는 것이 온당하다.

그들은 운동 벽두부터 타협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들은 약속한 시간과 장소인 ‘오전 10시’와 ‘탑골공원’을 일방적으로 바꿔 버렸다. 사후 그들의 말로는 ‘폭동의 우려가 있었기 때문’이라는 것이었는데, 이것은 제국주의 법정의 변론에서 그들에게 유효하게 작용되었다. 그들은 오전 10시가 아닌 오후 3시에야 탑골공원이 아닌 요릿집 태화관에 꾸역꾸역 모였다.
그들은 민중의 동향이 예상보다 거칠어지자 스스로 운동의 주도권을 놓아 버렸다. 그들 중의 다수는 국제정세를 읽는 실력이 부족했다. 그런 나머지 적국 일본의 반성을 촉구하는 정도에 그쳤고, 미국의 도움을 과신하는 타협적이고 사대의존적인 자세를 보였다.

특히 33인의 대표 격으로 장소를 태화관으로 임의 변경하는 것을 주도한 손병희는 이미 러일전쟁 때 ‘일본이 패망하면 동양이 파멸한다’고 하면서 일본에 군비 1만 원을 헌납한 전력이 있었다.

그들에게는 무엇보다도 운동의 주체인 민중에 대한 이해력이 현저히 부족했다. 민중은 자기들처럼 무슨 일을 흉내나 내고 그만 둘 사람들이 아니라는 것을 그들은 알지 못했다. 실제로 그들은 태화관에 모여 선언서를 낭독하지도 않은 채, 한용운의 간단한 취지 설명으로 대신하고 곧장 요리를 들었다.

그들은 자기들이 포승에 줄줄이 달려가는 모습을 민중이 본다면 얼마나 감격할 것인지를 헤아리는 두뇌도 없었다. 그들이 자진신고하여 출동한 일본 헌병에게 인력거 대신 자동차를 요구하자 일본 헌병의 일부는 혀를 찼고 나머지는 모두 비웃었다고 한다.

법정에서 그들은 “사의 천박한 학생과 군중이 모였으니 어떤 일이 일어날지 몰라(손병희)”, “무식한 자들이 불온한 일을 할 것 같아서(박희도)” 장소를 변경했다고 둘러댔다. 이 같은 점으로 볼 때 그들 33인을 ‘민족대표’라고 존칭하는 것은 또 하나의 역사 왜곡이 된다.

그러므로 33인을 가리켜 더 이상 ‘민족대표’라고 호칭하는 것은 공정하지 않다. 아마 그들 자신도 이런 과분한 칭호를 바라지는 않았을 터이다. 나는 그들에게는 ‘국내 종교계 대표’라는 칭호를 붙이는 것이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기실 3·1운동의 주체는 국내 종교계 대표 33인이 아닌 상해와 간도의 독립항쟁가들과 삼천리 방방곡곡의 초동급부들이었다. 그들이야말로 비폭력 타협주의의 한계를 깨고 순수한 무장항쟁을 실천했다. 그들은 제국주의의 폭압적 본질을 정확히 알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러고 보면 ‘3·1운동’이란 용어 자체에도 문제가 있다. 조선 백성은 3월 1일뿐 아닌 3,4월 두 달에 걸쳐 200만 명이 시위에 가담하여 무려 7,500명 이상이 생명을 바쳤다. 7,500명씩이나 학살당한 대참사를 기껏 '운동'이라고 하는 것은 언어에 대한 또 하나의 학살이다.

제국주의자들의 간담을 서늘하게 만든 것은 정작 이것이었다. 조선 백성은 자발적으로 뭉쳤고, 뭉친 사람들 중에서 또 지도자가 나왔다. 33인은 6개월에서 가장 길어야 3년의 옥고를 치렀지만 학생과 농민들은 15년씩이나 되는 무거운 형량을 받았다. 3·1운동은 ‘기미독립항쟁’ 정도로 개명되어야 마땅하다.






  • 왜곡과 날조의 오천년북방계단일선민족국민국뽕마약사범 박은식의 칠천명 사망설인지.

    아무튼 살인방화범죄자들이나 10년 이상의 형량을 받았고, 5년 이상의 형을 받은 경우는 사십건 정도지만.(3년형 초과는 폭력행위에 연루된 경우)
    그나마도 1920 특별사면령으로 형기가 반으로 줄었지만.
  • 헬조선 노예
    17.03.17
    미개한반도미개한망국미개한인민해방전선님 헬포인트 5 획득하셨습니다. 헬조선에서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
  • 33라 

    프리메이슨 33도 와 유사 해보이네 
  • 노인
    18.03.30
    여기서 프리메이슨이 무슨 상관이냐?
    숫자와 아무런 상관 없지 않냐?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조회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455 0 2015.09.21
11013 한국은 혼혈인에게 복수 국적을 허용해라 new 노인 76 0 2018.01.11
11012 조센진과 북방 유목민은 털끝만큼도 관계 없는 거 맞다 1 new Uriginal 76 0 2017.12.17
11011 조센 인터넷하다보면 센징이덜이 내가 하지도 않은 주장 내가 햇다며.txt 1 newfile 초고등영혼대천재쇼군 76 0 2017.12.15
11010 모든것에 양면성과 상대성이있다 new leakygut 76 0 2017.11.18
11009 환빠적 역사관으로 한국 비판이 가능하다고 믿는 것 같은데 3 new Uriginal 76 1 2017.11.01
11008 혹시 공자 한자 기원설 아예 없는거라고 믿는건가 2 new Uriginal 76 0 2017.10.21
11007 재외한국인 = 거의 외국인 new oldanda 76 3 2017.10.05
11006 데니스 로드먼의 북한 방문 보고 느낀 점 newfile 노인 76 0 2017.09.28
11005 신칸센좌석 . new 헬조선은언제나아질까? 76 0 2017.09.19
11004 직관 쓰는법 newfile leakygut 76 2 2017.09.19
11003 가족의 탄생 영화 어떻냐? 4 newfile 노인 76 1 2017.09.12
11002 어떤 유저가 빨갱이란 용어를 자주 쓰는데 6 new 시리우스☆+나도한마디(비서실장) 76 1 2017.09.02
11001 블레이징아 요새 공감이 새끼 어떻게 지내냐? 6 new 마테우스 76 1 2017.09.02
11000 욕의땅 한국 전생에 죄를 짓지 않으면 군 면제에다가 돈까지 있는인생 있다 new oldanda 76 2 2017.08.20
10999 헬조선은 통일도 없고 변하지 않는다 new oldanda 76 4 2017.08.15
10998 니들은 역사교육 어떻게받았냐? 7 new 유신 76 0 2017.08.06
10997 일본 10년 내 핵무장 가능 . 1 new 유신 76 1 2017.08.01
10996 군함섬문제에대해서 (조심스럽게 이야기 꺼내본다) 3 new 아베총리 76 1 2017.07.28
10995 헬조선 안에 태어난이상 썩은건 피할수없다 new oldanda 76 1 2017.07.14
10994 긴급속보 신뢰도 ㅎㅎㅎ new 강하게공격하고탈조선하자 76 0 2017.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