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노인
17.03.16
조회 수 109
추천 수 1
댓글 0








[늦어지는 첫 직장 입사…몸살 앓는 대한민국]
청년들 돈 버는 시점 늦어지면서
학자금·생활비 등 대출로 충당
결혼 연령 5년·주택 구입 6년↑
자금마련도 빚이용 비율 높아져
"노동시장 격차부터 해소해야"
 

0002994401_001_20170316205704187.jpg?typ

0002994401_002_20170316205704259.jpg?typ원본보기

[서울경제] 서울 소재 사립대를 나온 김모(27)씨는 대기업 해바라기다. 한때 ‘중소기업에서 회사생활을 시작한 뒤 대기업으로 이직할까’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중소기업 다니다가 대기업으로 갈 수는 없다”는 주변 얘기를 들은 뒤부터 중소기업을 쳐다보지 않는다. 김씨는 “30대 중반 결혼을 가정할 때 서른 살 이전에만 취직해도 결혼 전에 어느 정도 기반을 갖출 수 있다”며 “무조건 대기업 입사만 도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입직 연령 상승은 악순환 고리 출발점=김씨처럼 취업을 미루는 청년들이 늘어나면서 첫 입사 나이인 입직(入職) 연령은 지난 10여년간 거의 예외 없이 올라갔다. 이는 개인은 물론이거니와 우리 사회 전반에 여러 가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생산력을 감소시키는가 하면 소비력도 위축시킨다. 결혼 연령이 높아지면서 정부가 지난 10여년간 80조원의 예산을 쏟아부어 끌어올리려 한 출산율이 되레 떨어졌다. 출산율 하락은 다시 생산력 감소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늘어난 경제적 부담을 대출로 해결=첫 입사가 늦어지면서 청년들에게도 경제적 부담이 늘어난다. 학자금대출을 받은 사람들의 절반 이상이 생활비 등으로 추가 대출을 받아 빚의 늪에 빠지는 모양새다. 신한은행 빅데이터센터에 따르면 20대에 학자금대출을 받은 사람들의 53.9%는 생활비와 교육비를 충당하기 위해 추가로 대출을 받았다. 특히 학자금대출을 받은 사람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대출받는 금액이 늘어났다. 학자금대출을 받은 해의 평균 대출액은 355만원이지만 이후 1~3년 내 1,374만원, 4~5년 내 1,396만원, 6년 이후 2,841만원으로 급증했다. 대출 목적이 첫해에는 학자금과 교육비 41.5%에 생활비 29%였으나 6년 이후에는 주택자금 마련 45.2%에 생활비 24.7%였다. 돈을 버는 시점이 늦어지면서 생애주기별로 필요한 돈을 계속해서 대출로 충당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취업·창업 이후 학자금대출을 상환하는 20~30대는 생활고를 해결하기 위해 꾸준히 대출을 쓰고 있다”며 “학자금대출로 시작한 20~30대는 경제적으로 기반을 잡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결혼과 주택 마련 늦어지고 빚 늘어=입직 연령 상승의 영향으로 결혼과 거주지 마련 나이도 늦어지고 있다. 평균 결혼 연령은 과거 30년 전보다 5년 이상 늦어졌으며 첫 부동산 구입 연령도 1990년대 29세에서 현재 35세로 6년가량 높아졌다. 게다가 결혼자금을 마련하거나 부동산을 구입하기 위해 빚을 내는 사례도 늘었다. 3년 내 결혼 경험자 가운데 결혼자금으로 대출을 이용한 비율은 25.2%에 달했다. 첫 부동산 구입 시 대출을 활용하는 비중도 지난 1990년대 이전은 31.9%였으나 2010~2016년에는 49.3%로 커졌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앞선 정부는 학제개편 등을 통해 입직 연령을 인위적으로 낮추려 했다. 참여정부는 초등학교 과정을 1년 단축하는 방안을, 이명박 정부는 초등학교 입학 연령을 1년 낮추는 정책을 각각 검토했다. 하지만 적게는 수조원에서 많게는 십수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는 비용과 각종 혼란 등을 이유로 실현되지 않았다.

◇노동·고용시장 경직성·격차 해소 시급=대신 고용노동부 등은 선취업 후진학, 일학습병행제 활성화 등을 추진하고 있다. 입직 연령을 1세 낮추면 고용률은 4% 정도 올라간다는 한국폴리텍대학의 분석도 정부 정책을 뒷받침한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고용시장 경직성과 노동시장 격차가 청년들이 취업을 미루는 주된 요인이다 보니 입직 연령을 낮추기 위해서는 고용·노동시장 문제점을 먼저 해소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권혁 부산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실무능력 중심의 채용제도를 확고하게 구축하면 구직자들은 중소기업을 막론하고 실무능력 함양을 위한 취업 자체에 관심을 가질 것”이라며 “정부는 중소기업 근로자 및 비정규직에 대한 사회 안전망과 복지혜택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세종=임지훈기자 조권형기자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sid1=102&sid2=257&oid=011&aid=0002994401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최신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662 0 2015.09.21
13283 사람보다 동물이 잘생김 8 newfile 가이우스옥타비아누스 120 0 2017.07.17
13282 진짜 누가총제조법 유출하면 이순신보다 백배뛰어난 인물이다 17 new 생각하고살자 189 3 2017.07.17
13281 이순신 만 아니었으면 살기더좋았을텐데 씨발 1 new 생각하고살자 167 1 2017.07.17
13280 북한의 인종차별 1 newfile 노인 90 0 2017.07.17
13279 교도소와 학교 비교 1 newfile 노인 115 1 2017.07.17
13278 한국의미래 베네수엘라 new 생각하고살자 139 1 2017.07.17
13277 한국전쟁 이후 생긴 문화 : 성급함 3 newfile 노인 137 1 2017.07.17
13276 한국인들은 부를땐.. 이렇게 불러야되는게 맞다. 2 new 하오마루5 131 0 2017.07.17
13275 가는말이 고와야... 오는말이..곱다 1 new 하오마루5 107 1 2017.07.17
13274 최소 인간답게 살기위해선.. 최저임금1만원은줘야된다. 2 new 하오마루5 134 1 2017.07.17
13273 503번과 동시에 쥐박이도 처벌받아야 합니다 2 new 북대서양조약기구 55 2 2017.07.17
13272 일본의 군사력 증강에만 빼애액거리는 헬조선 8 new 아라카와방울뱀 162 3 2017.07.17
13271 니들 재택근무 그거 믿지마라. 11 new 블레이징 325 7 2017.07.17
13270 헬조선은 ㅂㅅ같은게 많다 2 new 헬조선붕괴협회 126 2 2017.07.17
13269 재택근무 거리는데 해본 사람 있나?? 6 new 헬조선붕괴협회 104 0 2017.07.17
13268 최저임금 인상 후 14 newfile 공기정화 197 2 2017.07.17
13267 5억+군대면제 << 이정돈 되어야 외국가도 성공한다 1 new oldanda 96 0 2017.07.17
13266 헬조선 군대갔다오면 다음생이상도 헬조선 1 new oldanda 73 0 2017.07.17
13265 헬조선은 왜 '전성기'가 없을까? 19 new 아베총리 242 7 2017.07.16
13264 둠센징들 보면 전반적으로 문화자체가 쓰레기라는걸 알수있다 4 new 전봇대 202 9 2017.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