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노인
17.03.05
조회 수 314
추천 수 2
댓글 4








[그래픽] 韓성장률 2년 연속 OECD 10위권
IMG_1130.JPG

 


(서울=연합뉴스) 이재윤 기자 =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률이 2년 연속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10위권 수준으로 떨어졌다.
5일 OECD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지난해 경제 성장률은 2.7%로 OECD 회원국 중 10위에 그쳤다.
[email protected]
페이스북 tuney.kr/LeYN1 트위터 @yonhap_graphics


2014년 4위에서 2015년 12위·지난해 10위로 급락

내년에도 2%대 성장시 미국에도 역전 허용 전망

(세종=연합뉴스) 박대한 기자 =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률이 2년 연속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10위권 수준으로 떨어졌다.

OECD 가입 이후 한때 성장률 1위를 기록하는 등 최정상급 경제 활력을 과시했지만 이제는 OECD 내에서도 '성장 중진국'으로 처져 성장 잠재력 제고를 위한 대응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5일 OECD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지난해 경제 성장률은 2.7%로 OECD 회원국 중 10위에 그쳤다.

2015년 12위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2년 연속 두 자릿수 등수에 그친 셈이다.

구체적으로 이스라엘(3.7%), 스페인(3.3%), 슬로바키아(3.3%), 스웨덴(3.1%), 폴란드(2.8%) 등이 우리나라에 비해 성장폭이 컸다.

연간 성장률이 집계되지는 않았지만 아이슬란드(5.2%), 아일랜드(4.8%), 룩셈부르크(4.4%), 뉴질랜드(3.3%) 등은 3분기까지 우리나라에 비해 월등히 높은 성장률을 기록해 연간 기준으로도 앞지른 것이 확실시된다.

AKR20170303140400002_02_i_20170305084802원본보기

韓성장률 2년 연속 OECD 10위권[연합뉴스 자료사진]

이처럼 우리나라의 성장률이 2년 연속 10위권대에 그친 것은 4년 연속(2003∼2006년) 두 자릿수를 기록한 2006년 이후 10년 만이다.

OECD 회원국 중 우리나라의 성장률 순위는 2006년 10위에서 2007년 8위, 2008년 6위에 이어 글로벌 금융위기의 영향권이던 2009년과 2010년에는 상대적으로 선방하면서 4위, 2위까지 치솟았다.

그러나 2011년과 2012년 각각 7위로 떨어진 뒤 2013년 6위, 2014년 4위로 소폭 올라갔다가 2015년 다시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문제는 단순히 성장률 순위만 하락한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의 성장 수준 자체가 낮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우리나라의 성장률은 1970년대는 연평균 10%가 넘었다.

1980년대 연평균 8.8%, 1990년대 7.1%대의 고성장을 구가하던 우리나라는 2000년대 들어 연평균 성장률이 4.7%로 5%를 밑돈 데 이어 2010년대 들어서는 3.4% 수준에 그치고 있다.

이마저도 6.5% 깜짝 성장한 2010년을 제외하면 2011년 3.7%, 2012년 2.3%, 2013년 2.9%, 2014년 3.3%, 2015년 2.6%, 2016년 2.7% 등으로 3% 성장마저 버거운 모습이다.
 

AKR20170303140400002_03_i_20170305084802원본보기



이에 따라 지난 2000년에만 해도 OECD 평균에 비해 5%포인트 가량 더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던 우리나라는 이후 OECD 평균과 격차가 계속 감소해 2014년 1.4%포인트, 2015년 0.4%포인트, 2016년 1.1%포인트 등으로 줄었다.

정부는 올해 경제정책방향에서 우리 경제의 성장률 전망치로 지난해(2.7%) 보다 낮은 2.6%를 제시했다.

OECD가 지난해 11월 발표한 세계 경제 전망(OECD Economic Outlook) 보고서에서 세계 경제가 지난해 2.9% 성장한 뒤 올해 3.3%, 2018년 3.6%로 개선될 것으로 전망한 것과 비교하면 유독 우리나라의 성장 부진이 눈에 띄는 셈이다.

우리나라가 2%대 저성장을 이어가면 내년에는 미국(3.0% 전망)에도 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우리 경제의 떨어진 성장 활력을 제고할 수 있는 정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우리가 미국과 같은 수준은 아닌 만큼 예전처럼 7% 성장, 이런 정도는 아니지만 2%대 성장을 당연한 것으로 봐서는 안된다"면서 "확장적 재정정책과 통화정책 등을 더욱 확실히 추진하면 앞으로 성장률이 개선될 수 있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PYH2017012504300001300_P2_20170305084802원본보기

분기성장률 1년 6개월 만에 최저(서울=연합뉴스) 서명곤 기자 = 정규일 한국은행 경제통계국장이 25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점에서 2016년 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를 설명하고 있다. 2017.1.25
[email protected]
 

 

http://m.news.naver.com/read.nhn?sid1=101&oid=001&aid=0009082293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2243 0 2015.09.21
10625 "한국을 탈출한다" 국적포기자 3만명 돌파…10년 만에 최고 newfile CARCASS 275 0 2018.11.29
10624 일본 사이트 야후 재팬에 내 블로그에 한번씩은 혐한글도 깔아 놓고 있었다. new 기무라준이치로 225 0 2018.11.29
10623 일베들은 자기가 싫어하는 자들이 가짜뉴스를 퍼뜨린다며 싫어해 하지만 1 new 노인 242 1 2018.11.29
10622 미국여군 . new 헬조선은언제나아질까? 308 0 2018.11.29
10621 아메리칸항공 퍼스트클래스. new 헬조선은언제나아질까? 288 1 2018.11.29
10620 9.11테러로 무너진 쌍둥이빌딩 ... 그이후 new 헬조선은언제나아질까? 261 1 2018.11.29
10619 9.11테러로 무너진 빌딩잔해로 건조한 미국군함 . new 헬조선은언제나아질까? 244 1 2018.11.29
10618 19세기 페르시아의 미인 1 newfile 노인 398 0 2018.11.30
10617 서양 극우파들의 이미지메이킹 수법 1 newfile 노인 812 0 2018.11.30
10616 해외에서 여자가 레깅스를 입는 것에 대해 간섭하는 사례가 생기자 이에 대해 비판하는 시위가 일어났는데 2 newfile 노인 183 0 2018.11.30
10615 노인님, 리브레위키에서 김치녀 문서에 대해 토론이 열렸습니다. 1 new 나키스트 234 0 2018.11.30
10614 김치녀나 개념녀나 도찐개찐인 이유 new 노인 281 1 2018.11.30
10613 노인님은 빌 버 라는 코미디언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 new 나키스트 219 0 2018.11.30
10612 헬조선 게이버의 화웨이 장비 구입 new 노인 261 0 2018.12.01
10611 서울은 귀하고, 지방은 천하다, 서울은 상전이고, 지방은 노예다. 언제까지 이 지랄할래? 4 new DireK 470 1 2018.12.01
10610 난 음모론은 안 믿지만 키코사건은 재수사해야 된다. new DireK 414 0 2018.12.02
10609 ㅋㅋㅋㅋ 우리때는 좃집이라고 불렀는데, 요즘 신세대애들은 곱창이라네 ㅋㅋㅋㅋㅋㅋ 1 new DireK 287 0 2018.12.02
10608 빌 버를 보면 느끼는 점(그의 모순) 1 new 노인 239 0 2018.12.02
10607 그런데 생각해보면 대안우파의 등장은 한국에서 등장한 일베 현상과 다른 점이 있지 않는가요? 2 new 노인 620 0 2018.12.02
10606 이제는 도저히 못감추는 파멸의 전주곡 ㅋㅋㅋㅋㅋㅋ newfile CARCASS 210 0 2018.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