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fck123
17.01.31
조회 수 323
추천 수 1
댓글 1








2016년 5월 장하준 교수의 기고문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노오력들 하시기 바랍니다.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 많은 경제학자가 경제를 다루는 일에 비참하게 실패했다는 광범위한 인식이 있었습니다.불행하게도 세상은 너무도 너그러워서 일을 엉망진창으로 했음에도 불구하고 똑같은 경제학자들이 여전히 세상에 대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말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상황이 오래 가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경제학 다시 생각하기`같은 학생 운동이 경제학 교육의 더 큰 개방성과 다양성을 요구합니다.사용자도 경제학 학위 프로그램에서 구입하는 `상품`의 품질에 대해 강한 목소리로 불만을 제기합니다.수학과 통계는 고도로 훈련되었지만 진짜 세상의 경제에 대해서는 무지한 상품 말입니다.

 

 더 중요한 일은 아래 사항을 더 많이 인식하는 것입니다.

 

 a.일반시민도 경제적 논쟁에 참여할 필요가 있다

 b.경제학은 당신이 생각하는 것처럼 어렵지 않다

 c.경제학은 생물학과 같은 과학이 아니다

 d.경제학에 대해 생각하는 다양한 방식들이 많이 있다

 

 민주주의에서 유권자가 정책에 대하여 관심이 없고 충분한 지식이 없을 경우에는 어떤 부문이든 그 사람은 괜찮은 정책을 누릴 수가 없습니다.경제도 예외가 아닙니다.

 

 

지루할 필요가 없다

 

 이런 인식에도 불구하고 대다수 사람이 경제학 배우는 것을 꺼려합니다.경제학이 비전문가의 영역을 벗어나는 대단히 기술적 주제라는 광범위한 인식 때문입니다.(심지어 약간 지루하기까지 하구요) 경제학에 대한 이런 두려움이 경제적 정책입안에 대한 시민의 영향력을 축소시켜왔으며 시민들이 민주주의 정치에 무력감을 느끼고 관심이 없는 상황을 만들었습니다.

 

 반드시 이럴 필요가 없습니다.제가 저의 책 `장하준의 경제학강의`에서 말씀드렸듯이 대다수 경제학은 접근가능한 방식으로 설명되는 경우에 중등교육을 받은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습니다.

 

 

경제학은 생물학과 같은 과학이 아니다…

 

 많은 경제학자가 경제학이 물리학이나 화학처럼 `가치중립적` 과학이라고 스스로 믿으며 다른 사람에게도 말하고 다닙니다.그러나 제 책은 경제학이 근본적으로 정치적이고 도덕적인 과목이라는 점을 강조합니다.과학자들이 연구하는 입자와 화합물은 정치적이고 도덕적인 견해를 지니지 않습니다.하지만 경제학을 채우는 인간은 정치적 도덕적 견해를 가집니다.따라서 정치와 윤리를 이해하지 않고서 경제를 잘 이해할 수는 없는 노릇입니다.

 

 더 중요한 것은 경제의 한계선, 즉 경제학의 영역이 윤리적이고 정치적 판단에 의해 결정된다는 사실입니다.20세기 초까지 부유한 국가에서조차 완벽하게 합법적 시장거래의 대상물이었던 아동 노동을 한 번 생각해 보십시오.이 사례는 시장 자체가 `정치적` 간섭으로부터 배제되어야 하는 자연적 질서가 아니라 정치적 구조물이라는 점을 의미합니다.

 

 

경제학을 생각하는 다양한 방식들이 많이 있다…

 

 이 모든 것이 경제학을 `행하는` 한 가지만의 정확한 방식이 있을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사실 (주요 학파들만 카운트하더라도)  9개의 경제학파가 있으며 자유시장 경제학만 하더라도 세 개의 학파가 있습니다(고전주의 학파,신고전주의 학파,오스트리아 학파). 이들 모두가 각각 다른 것들에 초점을 맞추면서 각기 다른 정치적 윤리적 가정을 지니고 있습니다.경제가 어떻게 운용되고 변화하는 지에 대해서도 다른 이론들을 가지고 있구요.

 

 각기 다른 형태의 경제학 이론과 그 이론 각각의 장단점을 배우는 것이 중요합니다.현실은 복잡하고 다양한 이론을 자유자재로 이용할 때에만 그 복잡성 속에서 현실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오늘날 경제적 문제를 다루기 위해서는 다양한 이슈에 대한 다양한 경제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기술과 정치가 안정적인 상황에서 뚜렷이 명시된 문제를 분석할 때에는 신고전주의 경제학이 매우 강력할 수 있습니다.그러나 불확실성과 불안정성이 지배하는 상황을 더 잘 다루기 위해서는 오스트리아 학파와 케인즈 학파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재정이든 복지국가든 시스템적 개혁에 관한 강력한 해결책이 필요하다면 제도주의적이고 행동주의적인 접근방식을 취해야 합니다.장기적으로 경제적 역동성을 회복시키는 일이라면 슘페터,개발주의,고전주의 그리고 막스 학파에서 더 많은 것을 참고해야 합니다.

 

 

적극적 행동을 할 때다..

 

 경제학자도 아닌 시민이 전문적 수준으로 경제학을 배우는 일은 불필요하거니와 가능하지도 않습니다.그러나 시민들이 주요 경제학 이론과 각각의 장단점에 친숙해지는 일은 가능하거니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이러한 경제학적 지식이 실제 세계의 경제에 대한 지식과 결합되면 경제적 이슈에 대한 유익한 판단을 내리는 일이 가능하며 제가 `적극적 경제시민권(active economic citizenship)`이라고 부르는 것을 행사하는 일도 가능해집니다.지금은 경제학을 쉽게 만들 시점입니다.

 

 

장하준 교수는 캠브리지 대학에서 경제학을 가르치고 있다.이 기사는 2014년에 발간된 `장하준의 경제학강의`에 근거하여 썼다.장교수는 또한 `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 `나쁜 사마리아인들`, `사다리 걷어차기`의 저자이기도 하다.

 

[ 원문 기사 ]

 

Ha-Joon Chang on why we all need to learn (some) economics

 

In his first article for Economy, renowned economist Ha-Joon Chang explains why he thinks it's really important that everybody should learn a little economics...

 

If economics isn't really your thing, but you're curious and want to know little bit more about how it all works, try checking out the work of Ha-Joon Chang. He's written some really readable books on economics. Here he explains why he thinks we should all learn a bit more about it.

 

There‘s been a widespread perception since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that many economists have miserably failed in their job of managing the economy. Unfortunately, the world has been too forgiving, for despite the fact that they've completely bungled

 

However, this state of affairs may not last for long. Student movements like Rethinking Economics have been calling for greater openness and plurality in the teaching of economics. Employers have become more vocal in complaining about the quality of the 'products' (graduates) that they get from economics degree programmes – highly trained in mathematics and statistics, but ignorant of real world economies.

 

More importantly, it's increasingly recognised that:

 

a) Ordinary citizens need to get involved in economic debates
b) It's not as hard as you think
c) It's not a science like biology's a science
d) There are lots of different ways to think about it

 

In a democracy, you'll never get a decent policy in any area unless the voting public is interested and knowledgeable enough about it - and the economy is no exception.

 

It's doesn't have to be boring...

 

Despite this recognition, most people are reluctant to learn economics because there's a widespread perception that it’s a very technical subject that's beyond the reach of non-specialists (and even a bit boring). This fear of economics has reduced the ability of citizens to influence economic policy-making, making them increasingly feel powerless and thus disinterested in democratic politics.

 

This need not be the case: most of economics can be understood by anyone with a secondary education if it's explained in an accessible way, as I argue in my book, Economics: The User's Guide.

 

It's not a science like biology's a science...

 

Many economists believe themselves, and tell other people, that economics is a 'value-free' science, like physics or chemistry. However, my book emphasises that economics is a fundamentally political and moral subject. Whereas the particles and compounds studied by scientists do not hold political and moral views, human beings who populate the economy do, and so we cannot fully understand the economy without understanding politics and ethics.

More to the point, even the boundary of the economy – and thus the scope of economics – is determined by ethical and political judgments. Think of child labour, which used to be a perfectly legitimate object of market transaction until the early 20th century, even in the richest countries. This means that the market itself is a political construct, rather than a natural order that should not be tampered with by 'political' intervention. Once we realise this, we begin to see how no economic argument can be free from politics.

 

There are lots of different ways to think about it...

 

All of this means that there cannot be one correct way of 'doing' economics. And indeed, there are nine schools of economics (and that’s only counting the major ones), including three varieties for free-market economics alone (classical, neoclassical, and Austrian). They all make different political and ethical assumptions, focus on different things, and have different theories about how economies operate and change.

It's important to learn about different types of economic theories and their respective strengths and weaknesses, because the reality is complex and therefore we can understand it in its full complexity only when we have a range of theories at our disposal. To deal with today's economic problems we need different economic approaches for different issues.

 

The dominant neoclassical economics can be very powerful when we analyse well-specified problems in a setting in which technologies and politics are stable, but we need the Austrian and the Keynesian approaches in order to better deal with situations characterised by uncertainty and instability. We should use Institutionalist and behaviouralist approaches more, if we’re to come up with robust solutions about systemic reforms – be they about finance or the welfare state. To think about reviving economic dynamism in the long run, we have to learn more from the Schumpeterian, the developmentalist, the Classical, and the Marxist schools.

 

It's time to get 'active'...

 

It's not necessary – or even possible – for citizens who aren’t economists to learn economics at a professional level. However, I believe it is possible – and necessary – that they acquaint themselves with the main economic theories and their respective strengths and weaknesses. When combined with some knowledge of real world economies, such knowledge will enable them to make informed judgments on economic issues and exercise what I call 'active economic citizenship'. It's time that we demystify economics for good.

 

Ha-Joon Chang teaches economics at the University of Cambridge. This article is based on his 2014 book, Economics: The User's Guide. He is also the author of 23 Things They Don’t Tell You About Capitalism, Bad Samaritans, and Kicking Away the Ladder.

 

This article was written in British English

 






  • 하긴 공무원 시험에서도 7급 필수과목으로 경제학이 있긴 하죠. 7급이야 9급보다는 더 고차원적인 일을 하니까 그렇다 쳐도 이게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나 싶어서 어렵기만 한 걸 뭐하러 배우나 싶기도 하네요 아직까지는. 그래도 배워서 나쁠 건 없으니까 배울 생각은 있긴 한데 (시험 치고 포맷해 버리는 용도 말고 개인적으로 관심 가지는 정도로만) 아무래도 접하기가 어려워서, 그러니까 진입 장벽이 높아서 걱정입니다.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63871 0 2015.09.21
15405 움베르토 에코가 세상의 바보들에게 웃으면서 화내라더군요 1 new 감성팔이. 193 1 2018.01.30
15404 울산이 이렇게 빨리 망할줄은 몰랐지? 문재인도 다 가짜야. 8 new DireK 329 1 2018.04.25
15403 울산의 석유화학단지 근처 지역도 가뭄=농업용수부족이 심각하다. new John 159 0 2023.04.02
15402 울산은 사실 현대가 먹여살렸지 1 new 킹석열 150 0 2022.05.27
15401 울산에서 증가하고 있는 청년 니트족 new 노인 119 1 2022.01.23
15400 울산시의 삽질 new 노인 154 0 2023.08.18
15399 울산 재개발 ㅋㅋㅋㅋㅋ 이제 최후의 돈긁기 시작이다. 2 new John 224 0 2022.10.23
15398 울산 씨발 곧 디트로이트 꼬라지 나겠구만. new John 178 1 2023.03.22
15397 울산 맛집에서 겪은 황당한일 3 new 달마시안 205 5 2017.08.24
15396 울산 동구부터 떡락. 디트로이트 꼬라지. new John 191 0 2023.02.12
15395 울면 안돼!! 쫄면 안돼!! 아무리 힘들어도~~ 3 newfile 호주뉴질랜드가고싶어 287 0 2016.11.27
15394 울나라 사람들끼리 서로 대화가 안되잖아? 1 newfile leakygut 228 2 2018.03.03
15393 울기 좋은 날 2 new 지옥을노래하는시인 219 3 2016.02.07
15392 운영자야.역사글 헬조선 게시판으로 옮겨줘. 왜 역사 까는글들 죄다 기타게시판으로 옮겨서 뭔지도 모르게 ... 2 new 이민가고싶다 315 3 2016.05.30
15391 운영자야 나라도 너에게 감사함을 표현하고싶다 3 new 생각하고살자 194 4 2017.10.08
15390 운영자바뀜? 사이트운영 존나말아먹네 new 생각하고살자 131 1 2017.08.26
15389 운영자님은 욕설하는 사람들에게 왜 관대한지 통 모르겠다 new eit 199 1 2022.08.21
15388 운영자님 헬조선 베스트에 간 글 모조리 삭제해 주세요 newfile 노인 167 0 2019.11.21
15387 운영자님 2 newfile 노인 194 3 2018.03.26
15386 운영자가 어떤 기준으로 자유게시판과 헬조선게시판 으로 분류하는지 모르겠슴 2 new 생각하고살자 270 0 2017.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