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국뽕충박멸
17.01.30
조회 수 168
추천 수 2
댓글 0








출처:매일경제

무너지는 중산층…한번 삐끗하면 재기조차 어렵다

 

 

기사입력 2017-01-30 18:20 

 

집이나 상가 물려받아 임대수입 짭짤한 동료와 소득 격차커 절망감
중산층 소득증가율 뚝…올림픽후 20년간 150%, 금융위기후엔 겨우 6%



◆ 위기의 계층사다리 ① / 계층이동도 수저론 ◆

20170131_2762745_1485767542_99_201701301
"4년제 대학 나와서 대기업에 들어가도 50세 전에 잘리는 직장인들이 많은 요즘 세태를 감안하면 노후를 미리미리 준비해야 하지 않겠어요?" 지난 8일 서울 강서구 롯데시네마 2층의 한 사업설명회장. 웬만한 샐러리맨들이 소파에 늘어져 있을 일요일 오후 5시인데도 300여 석 규모 설명회장은 강의를 들으러 온 수백 명의 수강생들로 열기가 후끈했다. 대부분 참가자들은 30·40대 직장인들로 보였다. 족집게 강사에 집중하는 수험생들보다 더 진지한 눈빛으로 강의를 듣고 있었다. 

이들이 모인 곳은 한 외국계 기업의 네트워크 마케팅(넓은 의미의 다단계 판매) 사업 설명회장이었다. 숱하게 언론보도에 나온 대로 '소비자'가 곧 '판매자'가 돼 회원을 끌어들이면 끌어들일수록 돈을 많이 버는 방식이다. 그나마 목돈을 만지는 것은 다단계 구조의 최상부 일부 간부에 불과하고, 대부분은 물건값만 떠안고 주저앉는다는 게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그런데도 이곳에 모인 수강생 중 상당수가 어엿한 직장을 갖고 있거나, 교사 교수 군인 등 안정적인 수입이 보장된 공무원이라는 점이 '아이러니'였다.

대기업 과장으로 일하고 있다는 하정우 씨(가명·42)는 "주변 금수저 동료들은 상가나 오피스텔을 사서 벌써 임대사업을 하고 있다"며 "차장 승진에서 미끄러진 뒤 '언제까지 회사를 다닐 수 있을까'라는 불안감 탓에 '투잡'이라도 뛰어볼 요량으로 찾아왔다"고 말했다. 

이날 설명회장에 가장 많이 나온 연령층은 40대였다. 40대는 한국 중산층에 진입한 대표 연령대다. 하씨는 "과거 동창이었던 '금수저' 출신 친구들과 비교하면 집값, 소득, 자녀교육비까지 총체적인 격차에 한숨밖에 안 나온다"고 말했다. 

한국 중산층의 몰락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특히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 경제연구소 경제논집 최근호에 게재된 표학길 서울대 명예교수(경제학부)의 논문('소득·소비분배구조 변화의 정책적 함의')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실질소득 분포구조는 2008년 금융위기를 전후로 크게 변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올림픽이 열린 1988년부터 20년 동안 중상위권(5~7분위) 소득계층의 실질소득 증가율이 149~153%로 전체 10분위 계층 가운데 가장 높았다. 반면 금융위기가 발생한 이후인 2008~2015년에는 같은 중상위권 소득 증가율이 6~8%에 그쳐 하위계층(1~4분위) 11~12%보다 훨씬 낮았다. 금융위기 전에는 소득 증가를 통한 계층 신분 상승이 중산층에서 활발하게 나타난 반면 금융위기 이후에는 복지를 위한 증세와 일자리 불안 등으로 중산층의 삶이 오히려 더 팍팍해졌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표 교수는 "금융위기 후 우리나라에서도 소득계층과 소득증가율 사이에 이른바 '코끼리 곡선(elephant curve)'이 나타난다"고 말했다. 이는 미국의 블랑코 밀라노비치 뉴욕시티대학원 교수가 2013년 제시했던 곡선으로 1988년부터 2008년까지 20년간 분위별 세계 소득분포와 실질소득증가율 사이에 마치 코끼리와 같은 모양의 그래프가 나타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밀라노비치 교수가 지구촌의 계층별 소득증가율을 분석한 결과, 중국과 같은 지구상의 중간 소득그룹과 세계 가구소득 최상위 1% 그룹의 소득증가율은 60~80%로 크게 증가한 반면, 세계 가구소득 상위 60∼80% 분위에 속한 선진국 '중하위 계급'은 소득이 거의 늘지 않았다. 표 교수는 "최근 정부의 내수진작 정책이 별다른 효과를 못 내는 것도 전통적으로 소비를 주도해온 중상위 소득계층의 상대적 박탈감이 크기 때문"이라며 "중상위계층의 상대적 박탈감이 중산층 주도의 정치·경제적 이반현상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경고했다.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추천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219 0 2015.09.21
10345 미군무기가 약발 다해서 그런것도 분명 있겠지만 1 new 킹석열 28 0 2024.05.07
10344 이재명이 수구세력을 견제를 잘 못했던거임 1 new 킹석열 35 0 2024.05.07
10343 미국 마귀새끼덜 반유대인식법으로 신약조차도 불법화. new John 33 0 2024.05.07
10342 이재명이 대통령이 되면 중국산 농산물 시장부터 개방해서는 물가를 낮춰야 한다. newfile John 29 0 2024.05.07
10341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새끼덜의 투쟁은 본질적으로 맘루크 왕조와 일칸국 새끼덜의 투쟁의 연장선이다. newfile John 65 0 2024.05.07
10340 대장동 사건은 본질적으로 미국 개새끼덜이 이재명의 통수를 친 것이다. newfile John 30 0 2024.05.07
10339 개박살나서는 모스크바에 전시된 에이브람스 땅크 newfile John 28 0 2024.05.07
10338 한국의 재벌 대기업 독과점의 문제점 new 노인 18 0 2024.05.07
10337 한국에서 인디게임이 살아남기 힘든 이유 new 노인 16 0 2024.05.07
10336 롤렉스가 소장가치가 있던 시대는 이미 끝났는데 틀딱이 개지랄. newfile John 28 0 2024.05.07
10335 대구경북새끼덜 주변 관광지는 모두 멸망중. new John 23 0 2024.05.07
10334 한국의 100대 그룹의 판도는 1997년 imf 때보다 못하다. new John 23 0 2024.05.07
10333 머지않는 미래의 한국에서는 남성들 사이에서 인셀이 아닌 반출생주의가 주류가 될 것이다 1 new 노인 38 0 2024.05.06
10332 헬쥬신 기성세대 지방꼰대새끼덜의 민도. new John 28 0 2024.05.06
10331 미제 유도무기, 러시아 전자전에 무력화! new John 24 0 2024.05.06
10330 미국 과두정 "최후의 1달러까지 찍어낸다." new John 24 0 2024.05.06
10329 중소기업 육성정책보다는 new 노인 18 0 2024.05.05
10328 일본에서는 듣보잡 도시인 고지시에도 게임회사 사무직 일자리가 있지만 1 new 노인 27 0 2024.05.05
10327 그리고 트럼프가 밑밥깔았잖음 new 킹석열 18 0 2024.05.05
10326 결국 최악의 시나리오는 new 킹석열 18 0 2024.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