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국뽕충박멸
17.01.30
조회 수 264
추천 수 2
댓글 0








출처:매일경제

무너지는 중산층…한번 삐끗하면 재기조차 어렵다

 

 

기사입력 2017-01-30 18:20 

 

집이나 상가 물려받아 임대수입 짭짤한 동료와 소득 격차커 절망감
중산층 소득증가율 뚝…올림픽후 20년간 150%, 금융위기후엔 겨우 6%



◆ 위기의 계층사다리 ① / 계층이동도 수저론 ◆

20170131_2762745_1485767542_99_201701301
"4년제 대학 나와서 대기업에 들어가도 50세 전에 잘리는 직장인들이 많은 요즘 세태를 감안하면 노후를 미리미리 준비해야 하지 않겠어요?" 지난 8일 서울 강서구 롯데시네마 2층의 한 사업설명회장. 웬만한 샐러리맨들이 소파에 늘어져 있을 일요일 오후 5시인데도 300여 석 규모 설명회장은 강의를 들으러 온 수백 명의 수강생들로 열기가 후끈했다. 대부분 참가자들은 30·40대 직장인들로 보였다. 족집게 강사에 집중하는 수험생들보다 더 진지한 눈빛으로 강의를 듣고 있었다. 

이들이 모인 곳은 한 외국계 기업의 네트워크 마케팅(넓은 의미의 다단계 판매) 사업 설명회장이었다. 숱하게 언론보도에 나온 대로 '소비자'가 곧 '판매자'가 돼 회원을 끌어들이면 끌어들일수록 돈을 많이 버는 방식이다. 그나마 목돈을 만지는 것은 다단계 구조의 최상부 일부 간부에 불과하고, 대부분은 물건값만 떠안고 주저앉는다는 게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그런데도 이곳에 모인 수강생 중 상당수가 어엿한 직장을 갖고 있거나, 교사 교수 군인 등 안정적인 수입이 보장된 공무원이라는 점이 '아이러니'였다.

대기업 과장으로 일하고 있다는 하정우 씨(가명·42)는 "주변 금수저 동료들은 상가나 오피스텔을 사서 벌써 임대사업을 하고 있다"며 "차장 승진에서 미끄러진 뒤 '언제까지 회사를 다닐 수 있을까'라는 불안감 탓에 '투잡'이라도 뛰어볼 요량으로 찾아왔다"고 말했다. 

이날 설명회장에 가장 많이 나온 연령층은 40대였다. 40대는 한국 중산층에 진입한 대표 연령대다. 하씨는 "과거 동창이었던 '금수저' 출신 친구들과 비교하면 집값, 소득, 자녀교육비까지 총체적인 격차에 한숨밖에 안 나온다"고 말했다. 

한국 중산층의 몰락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특히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 경제연구소 경제논집 최근호에 게재된 표학길 서울대 명예교수(경제학부)의 논문('소득·소비분배구조 변화의 정책적 함의')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실질소득 분포구조는 2008년 금융위기를 전후로 크게 변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올림픽이 열린 1988년부터 20년 동안 중상위권(5~7분위) 소득계층의 실질소득 증가율이 149~153%로 전체 10분위 계층 가운데 가장 높았다. 반면 금융위기가 발생한 이후인 2008~2015년에는 같은 중상위권 소득 증가율이 6~8%에 그쳐 하위계층(1~4분위) 11~12%보다 훨씬 낮았다. 금융위기 전에는 소득 증가를 통한 계층 신분 상승이 중산층에서 활발하게 나타난 반면 금융위기 이후에는 복지를 위한 증세와 일자리 불안 등으로 중산층의 삶이 오히려 더 팍팍해졌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표 교수는 "금융위기 후 우리나라에서도 소득계층과 소득증가율 사이에 이른바 '코끼리 곡선(elephant curve)'이 나타난다"고 말했다. 이는 미국의 블랑코 밀라노비치 뉴욕시티대학원 교수가 2013년 제시했던 곡선으로 1988년부터 2008년까지 20년간 분위별 세계 소득분포와 실질소득증가율 사이에 마치 코끼리와 같은 모양의 그래프가 나타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밀라노비치 교수가 지구촌의 계층별 소득증가율을 분석한 결과, 중국과 같은 지구상의 중간 소득그룹과 세계 가구소득 최상위 1% 그룹의 소득증가율은 60~80%로 크게 증가한 반면, 세계 가구소득 상위 60∼80% 분위에 속한 선진국 '중하위 계급'은 소득이 거의 늘지 않았다. 표 교수는 "최근 정부의 내수진작 정책이 별다른 효과를 못 내는 것도 전통적으로 소비를 주도해온 중상위 소득계층의 상대적 박탈감이 크기 때문"이라며 "중상위계층의 상대적 박탈감이 중산층 주도의 정치·경제적 이반현상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경고했다.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71194 0 2015.09.21
10189 헬센징들은 이거 하나라도 반박해보자. 7 new 달마시안 353 4 2017.02.04
10188 언론의 세뇌를 보니 정말 기기 막이네요 돈이 없어 결혼을 못한다? 17 new 탈죠센선봉장 779 8 2017.02.03
10187 헬조선이 결국 사건을 저질렀네요. 2 new Mihel 399 6 2017.02.03
10186 일본은 이미 군국주의로 되돌아 오고 있다.! 6 new 기무라준이치로 279 0 2017.02.03
10185 20대 중반에 드디어 몸소 헬조선을 경험했습니다. 2 new 붕가붕가 388 8 2017.02.03
10184 미사모 에서 한 청년이 올렸다는 글. 3 new 기무라준이치로 336 0 2017.02.03
10183 영어와 당신 이름에 대한 조언 4 new Mansei 270 2 2017.02.03
10182 Prius vs Ioniq 2 newfile Mansei 204 1 2017.02.03
10181 "화났다" 부산 소녀상 'LOVE JAPAN' 부착물 뗀 남성.... 11 new 진정한애국이란 320 8 2017.02.03
10180 연초에 올라온 익스트림 갓본 뉴스 7 newfile 허경영 274 2 2017.02.03
10179 어떤 생각이나 행동을 할 때 판단의 기준 1 new 불타오른다 160 1 2017.02.03
10178 여긴 게임문화도 왜이런지 모르겠다 5 new Speargun 394 3 2017.02.03
10177 헬조선 군대보다 상황조치가 빠른 이마트.jpg 5 newfile 잭잭 395 5 2017.02.03
10176 조센의 LTE 무제한 크라스 new 조선부침개 217 5 2017.02.03
10175 늘 느끼는거지만... 3 newfile 블레이징 416 5 2017.02.03
10174 한국인의 주된 뿌리 new 미개한반도미개한망국미개한인민해방전선 227 2 2017.02.03
10173 일본차들을 헬조선의 저질차들과 비교하면 안되는이유. 6 new Mihel 406 2 2017.02.02
10172 노답인나라 구제가 불능하다 진짜 newfile 좀비생활 332 0 2017.02.02
10171 이민을 가게된다면.. 미국으로 가고싶습니다, 3 new 하오마루5 299 1 2017.02.02
10170 헬조선을 이렇게 때리고 싶지.? new 기무라준이치로 224 0 2017.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