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국뽕충박멸
16.01.13
조회 수 744
추천 수 15
댓글 1








출처:한겨레

[한겨레]?“원하는 직장 취업할 자신”
부유층 83%, 빈곤층 23%
출신→일자리→계층 고착화
‘고용신분제 사회’의 서막


00548616901_20160113_99_20160112221519.J
00548646701_20160113_99_20160112221519.J
청년들의 취업에 대한 자신감이 부모의 경제력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열한 취업 경쟁 탓에 갈수록 취업에 들어가는 시간과 비용이 늘어나면서 이를 뒷받침해줄 수 있는 부모의 경제력이 더욱 중요해지는 현상을 반영하는 결과로 보인다.?

<한겨레>가 ‘대학내일 20대 연구소’와 함께 지난달 4~15일 20대 청년 215명을 심층 인터뷰한 결과, 부모의 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취업에 자신감이 있다고 답한 이들의 비율이 높았다. ‘현재 스펙으로 원하는 일자리를 얻을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부모의 경제적 지위가 ‘상층’이라고 답한 청년들은 10명 가운데 8명 이상(83.3%)이 ‘매우 높다’거나 ‘높은 편’이라고 대답했다. 부모의 경제력이 ‘중상’이라고 답한 청년층에서는 절반(50.0%)이, ‘중간층’이라고 말한 청년들은 34.4%가 이렇게 답했다. ‘중하층’과 ‘빈곤층’에서는 각각 25.0%, 23.5%로 떨어졌다.

부모의 경제적 지위가 ‘중상 이상’이라고 답한 ㄱ씨는 “내가 열심히 한 만큼 스펙이 생긴다”고 자신감을 드러냈지만, ‘중하 이하’이라고 한 이들 중에서는 “아르바이트를 하느라 학점이나 스펙을 챙길 수 없었다” “높은 스펙을 만들려면 부모님 지원이 필요하다” 등의 대답이 나왔다. 그러다 보니 청년들은 ‘현재 자신에게 주어진 조건 가운데 바꾸고 싶은 것’으로 ‘대학, 성적 등 스펙’(29.5%)과 함께 ‘경제력과 가정형편’(25.4%)을 꼽았다.

청년들은 취업 과정의 공정성에 강한 불신감을 나타냈다. ‘우리 사회의 취업 과정이 공정한가’를 묻는 질문에 청년 3명 가운데 약 2명(64.6%)은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이 대답 비율은 부모의 경제적 지위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들은 ‘인맥에 의한 취업 등 불명확한 평가 기준’(40.7%)과 ‘학력 등에 의한 차별’(33.3%), ‘계급과 경제력 중심의 사회 구조’(14.8%) 등을 불공정의 배경으로 지목했다.

이런 조사 결과는 부모의 경제력이 취업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학벌’은 물론, 취업준비에 쏟는 시간과 돈에까지 영향을 끼치면서 취업 경쟁력을 좌우하는 현실 탓으로 풀이된다. 이병희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현재 청년들은 오랜 시간 동안 노동시장 밖에서 취업을 준비해야 하기 때문에 ‘가족 안전망’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더 심각한 것은 우리는 외국과 달리 경력을 쌓아 상향 이동을 하는 경우가 드물어 취업 뒤에도 비슷한 일자리나 더 열악한 일자리만 맴돌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출신 계층이 일자리를 결정하고, 다시 그 일자리가 계층을 고착시키는 ‘고용신분제 사회’의 징후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 rob
    16.01.13
    이력서에 부모 직업을 쓰는데 어떻게 노오오오오력만 하면 다 돼냐? 대한민국만세 삼둥이가 나중에 취직할때, 지 엄마 직업에 '판사' 이렇게 써봐라. 대기업이 고용할라고 줄을 설끼다!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조회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 탈조선 베스트 게시판 입니다. 12 new 헬조선 9379 1 2015.07.31
1603 내수 차별 14 newfile 헬조선탈조선 1379 26 2016.02.19
1602 헬조선 여러분 대한민국 법은 우리를 지켜줍니다 17 new 영원한안식 1379 25 2015.09.08
1601 헬조선에서는 안심하라고 할때가 가장 위험하다 8 new 지옥불조선 1378 20 2016.05.02
1600 인간극장의 흑역사 11 new 헬조선탈조선 1378 15 2015.08.18
1599 오늘도 평화로운 중고나라.jpg 7 newfile 허경영 1377 17 2017.05.10
1598 이 나라를 관통하는 단 하나의 문화는 바로 "해주세요" 문화이다 11 new 카를슈바르츠실트 1377 14 2015.08.27
1597 하하하 헬조선회사에서 강퇴당할 위기입니다 7 new 인외마경헬죠센 1376 21 2016.06.26
1596 너희들의 적은 채권계급이다. 6 new John 1376 14 2015.12.24
1595 빚과 자식이 인생을 살아가는 동력이 되는게 과연 바람직한가 15 new 살려주세요 1376 20 2015.11.09
1594 헬조선의 직장생활을 모바일에서도 간접 경험 할수 있습니다. 3 new 구원자 1375 14 2015.09.27
1593 여가부가 해냈다!!! 2 new 헬조선뉴스 1375 1 2015.07.29
1592 이제 어떤 혁신이든 절대 헬조선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14 new 애국가5절 1373 13 2015.08.05
1591 갓나다에서 가장 존경받는 직업... 10 new 잭잭 1372 9 2015.08.12
1590 갓울시 슈즈트리 근황.jpg 13 newfile 허경영 1369 15 2017.05.26
1589 자소설 헬 10 new 국뽕충박멸 1369 30 2016.10.08
1588 롯데제과의 초콜릿 제품에 "카카오 버터" 함량이 낮은 이유 14 new 꿀렁꿀렁 1369 12 2015.08.11
1587 한양대 문과생의 하루 1 new 헬조선 1369 0 2015.07.01
1586 존대말을 없애야한다 23 new 아캄 1367 23 2017.01.28
1585 헬조선 고교 배구팀 클라스 4 new 국뽕충박멸 1367 24 2016.09.14
1584 헬조선 4대 비극 체벌, 학교폭력, 징병, 야근 9 new 살려주세요 1367 18 2016.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