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부제: 왜 모른다고 말할줄 모르는가

 

 

저는 어릴땐 공부를 잘하는 편이었습니다.

중학교 고등학교때 게임을 많이해서 성적이 떨어지기는 했지만요.

소위 말해서 노력보다는 머리가 좋은 스타일이었습니다.

이런 스타일은 조선에서 살기 정말 불리합니다. 조선에서는 '병신력'이 중요하기 때문에..


여기까지는 중요한건 아니고. 하고싶은 말은요..


조선인들에게 뭔가를 질문하면 '모른다'고 답변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자기가 모르는 것에 대해 질문 받았을때,

모르면 솔직하게 모른다고 해야 물어본 사람에게 피해를 안줄거 아닙니까.


그런데 조선인들 대다수는 질문에 대해 모른다고 답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정말 모르는 내용을 질문 받아도, 자기가 내용을 멋대로 지어내서라도 대답합니다.


그래서 저는 어릴때부터 제가 남들보다 모르는게 많나? 하는 의문을 품고 살았습니다.

왜냐면 저는 솔직하게 모른다는 말을 잘 사용했는데,

희한하게도 다른 사람들은 뭔가를 물었을때 모른다고 답하는 경우를

거의 보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저는 어린시절에는 모른다는 말을 굉장히 많이 사용했습니다.


지난 글에 썼듯이 제 전생은 서양인이라고 합니다.

아직도 동양인, 특히 한국인의 정신에 익숙해지는 중입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조선인들 대부분이 지적 컴플렉스를 지니고 있어서

그걸 감추기 위해 '모른다'는 대답은 절대적으로 피하는 건지도 모르겠습니다.


저는 이게 상당히 궁금합니다. 일본이나 서양 사람들도 모른다는 잘 안쓰는걸까?

이점 외국에서 오래 살거나 살고계신분이 대답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저는 대학교를 졸업하고 컴퓨터학원을 다녔는데,

우리반을 맡았던 학원선생이 있습니다.


그 선생은 항상 질문을 하라고 해놓고, 제가 질문하면

이상하게 짜증부터 냈습니다.

그런데 자기가 짜증 났다는 사실을 알도록 그냥 솔직하게 짜증을 내는 것도 아니고,

질문에 대한 답을 제대로 해주는 것도 아니고 안해주는 것도 아니고

엉뚱한 답변을 배배 꼬아서 해주었습니다.

저는 물론 당황스러울 다름이었지요.


조금 시간이 지나고 다시 생각해보니,

제가 그 선생을 곤란하게 할 만한 어려운 질문만 골라서 했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제가 평균적인 조선인들보다 머리가 좋다보니, 당연한 질문은 안하고

어려운 질문을 골라서 했기 때문이죠.

저는 조선인들이 자기가 모르는 내용을 질문했을때 솔직하게

모르면 모른다고 대답할 줄 알았기 때문에,

당시에는 그 선생의 이상한 반응이 이해가 되지 않았습니다.


어쩌면 그리고 당연한지도 모르지만 그 컴퓨터학원에서

저는 약간 왕따가 되어갔습니다. 천재소리를 듣기도 했지만 동시에

친구가 서서히 없어지더군요.


그땐 제가 눈치가 없어서 잘못했다고 생각했지만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조선인들 참 이상하단 생각이 남는군요.


왜 자기가 모르는 질문을 받았을때 솔직하게 모른다고 말 안합니까?
당신네들 때문에 얼마나 고생한줄 압니까?

난 조선인들 대부분이 이렇게 지적인 콤플렉스 속에서 사는지 몰랐습니다.

워낙 어릴때부터 지적인 콤플렉스와는 거리가 멀다보니

이런 의식구조를 이해하는데도 한참이 걸리더라구요.


조선인들 지금이라도 좌뇌를 장착하고 사시길 바랍니다!!

인간세계는 우뇌만이 아니라 좌뇌도 장착하고 있어야합니다.


내안의 악마가 말합니다.

우주에서 악마들이 조선인들을 두고 벼르고 있다구요.

조선인들이 그나마 착하기는 한줄 알았는데 그것조차도 아닌 것이었다고 결론이 나면

다 엎어버릴거랍니다. ㅎㅎ


숭산스님의 가르침 '오직 모를뿐'이라는 가르침에 대한 어떤분의 강의를 링크하며

글을 마칩니다..


http://blog.daum.net/tina5669/8557

 

 

 






  • 레가투스Best
    16.03.26
    내가 미국에서 대학다닐때 가르치던 유럽역사 교수는
    박사학위를 따고 다른 교수들이 박사논문으로 자주 의뢰를 하는 양반이고,
    내가 존경하는 둘-셋 사람중 하나인데, 
    내가 "유럽이 예전처럼 내부의 친러시아파 확산으로 인해 다시 세계1차대전처럼
    갈라질 가능성이 있느냐?" 고 오래 품었던 질문을 던지니, 자기도 모른다고 솔직하게 대답했지.
     
    이 양반이 모른다고 자신의 지식한계를 밝혔지만, 한계를 밝힌다 해서 지식의 범위가 좁은것아니지.
     이를 테면 세계2차대전때 마지농라인 돌아서 블리즈크리크 쓴 나치전략에서 부터, 야망과 죄책감의 상관관계
    를 연구한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  쓰잘데기없어 보이는 1910년경의 제즈음악의 등장 및 악보의 재편성에 대해서도
    질문을 하면 정확히 세세하게 대답했지. 점수에 상관없이 열정만을 믿은 순수한 지식의 추구였어.  수업외에도 개인적인 면담을 했는데, 2003 이라크전쟁에 대한 유럽역사에 빗대어 미국의 정책을 설명해주더라. 
    또 재미있게 뭐냐면, 내가 그 수업 1년전에 이 작자로 부터 한번 또다른 수업을 받은적이 있는데
    그게 유럽철학이 였는데, "동물과의 섹스는 왜 안되는가?" 에 대해 논리적으로 대답하는 시간이였어. 근데
    내가 1년넘게 그문제에 대답을 못했거든...물론 시험과도 무관해. 그리고 1년이 지나서도 그문제를 다시 꺼내고 반박하니,
    그 교수는 당황한 기색없이 단호하게 논리적으로 정성을 다해 나의 주장을 또 받아 쳐내버렸지. 즉, 지식추구는 시험의 기간으로만 제한되는게 아니라. 저런 논쟁적인 한 질문을 가지고 몇년동안 늘어질 수도 있는거야. 
     
     
    또 한 양반은 케임브릿지에 나와서 어린나이에 국제 정치경제 박사학위딴 30대 후반 중국인 교수였는데,
    자신이 영어가 약한것도 인정하고, 역사에 대해선 개신교가 자본주의를 어떻게 촉진시켰는지에 (중세유럽) 대해서 자신이 잘모르는 부분도 스스로 인정하고, 다음수업때 따로 리서치해오더라. 
     개인적으로 면담가니, 복잡해서 모르는 부분이 있으면 세세하게 설명해주고, 이 작자가 셰일가스 프로젝트에 대해 연구하는데 그것에 대한정보도 나에게 따로 귀뜸 해주더라. 
     
    지식의 방대함, 세세한부분까지 통달한 정교함, 세상의 흐름에따라 기존의 지식 업데이트를 반응하는 민첩합, 그리고 무엇보다도 그것들이 새어나가지 않게 완성시켜주는 겸손한 인격이 
    공통점이다.  
     경이로운 지경에 도달한자들은 과연 어떠한 인간인지  20대초반의 들뜰줄 밖에 몰랐던 한 풋내기의  뇌리에 각인되더군. 
     
    사실 공자 왈 " 모른다고 하는것이 앎이다." 즉, 자신이 정확히 모르는 범위가 어디까지인지 알아야
    그것을 알수 있는 계기가 생기는거지. 모르는부분이 있으면, 알면되는거고, 그렇게 계속계속 확장
    해 나가면 되는거지. 그래서 공부는 하면할수록 자신이 무식하다는것 더욱느끼게 된다. 
    기억해라. 한계를 아는것이 아이러니하게 한계를 넓혀줄것이다.
     
  • 정말 공감합니다. 저도 학교 다닐 때는 사소한 것이라도 가능하면 수업 끈나고 나서 교무실 쫓아가서라도 질문하는 걸 좋아했죠. 꼭 성적이 잘 나와야 해서, 뭐 모범생처럼 보여야 해서 하는 피상적인 것 때문이 아니라, 정말 학교에서 질문하는 게 창피한 이유를 모르겠고, 긍극적으로 모르는 걸 물어보고 배워가는 거지 어디 학원 인강 같은 거에 의존해서 아무 생각없이 시간만 지나가네 하고 듣기만 하는 거는 하등 도움이 안 된다는 걸 느꼈기 때문이죠, 그렇게 12년 간 공부했던 수능 이후에는 언제 그랬냐는 듯 공부한 거 전부 포맷시켜버리고 대학 왔는데 대학도 마찬가지더군요. 질문하면 시간 뺏어먹지 말라고 면박 주는 사람도 보았고, 대부분이 뭐지 저 병신은 하는 눈치여서 질문하는 게 이상한 거냐고 따지고 싶었지만, 미개한 죠센징들에게 잘 타일러서 설득한다고 해봤자 빼애액대고 할 게 뻔해서 그냥 내가 몰래 하는 게 낫겠다 한 적도 있었습니다. 질문 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면담도 즐겨 했는데, 현직 교수들의 생각을 들어 봐야 내가 개인적으로 생각한 게 잘못되었구나 하는 걸 깨닫지, 그냥 교수님이 강의하는 거 그대로 베껴서 중간기말 백점 나오면 뭐합니까?
  • 레가투스
    16.03.26
    내가 미국에서 대학다닐때 가르치던 유럽역사 교수는
    박사학위를 따고 다른 교수들이 박사논문으로 자주 의뢰를 하는 양반이고,
    내가 존경하는 둘-셋 사람중 하나인데, 
    내가 "유럽이 예전처럼 내부의 친러시아파 확산으로 인해 다시 세계1차대전처럼
    갈라질 가능성이 있느냐?" 고 오래 품었던 질문을 던지니, 자기도 모른다고 솔직하게 대답했지.
     
    이 양반이 모른다고 자신의 지식한계를 밝혔지만, 한계를 밝힌다 해서 지식의 범위가 좁은것아니지.
     이를 테면 세계2차대전때 마지농라인 돌아서 블리즈크리크 쓴 나치전략에서 부터, 야망과 죄책감의 상관관계
    를 연구한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  쓰잘데기없어 보이는 1910년경의 제즈음악의 등장 및 악보의 재편성에 대해서도
    질문을 하면 정확히 세세하게 대답했지. 점수에 상관없이 열정만을 믿은 순수한 지식의 추구였어.  수업외에도 개인적인 면담을 했는데, 2003 이라크전쟁에 대한 유럽역사에 빗대어 미국의 정책을 설명해주더라. 
    또 재미있게 뭐냐면, 내가 그 수업 1년전에 이 작자로 부터 한번 또다른 수업을 받은적이 있는데
    그게 유럽철학이 였는데, "동물과의 섹스는 왜 안되는가?" 에 대해 논리적으로 대답하는 시간이였어. 근데
    내가 1년넘게 그문제에 대답을 못했거든...물론 시험과도 무관해. 그리고 1년이 지나서도 그문제를 다시 꺼내고 반박하니,
    그 교수는 당황한 기색없이 단호하게 논리적으로 정성을 다해 나의 주장을 또 받아 쳐내버렸지. 즉, 지식추구는 시험의 기간으로만 제한되는게 아니라. 저런 논쟁적인 한 질문을 가지고 몇년동안 늘어질 수도 있는거야. 
     
     
    또 한 양반은 케임브릿지에 나와서 어린나이에 국제 정치경제 박사학위딴 30대 후반 중국인 교수였는데,
    자신이 영어가 약한것도 인정하고, 역사에 대해선 개신교가 자본주의를 어떻게 촉진시켰는지에 (중세유럽) 대해서 자신이 잘모르는 부분도 스스로 인정하고, 다음수업때 따로 리서치해오더라. 
     개인적으로 면담가니, 복잡해서 모르는 부분이 있으면 세세하게 설명해주고, 이 작자가 셰일가스 프로젝트에 대해 연구하는데 그것에 대한정보도 나에게 따로 귀뜸 해주더라. 
     
    지식의 방대함, 세세한부분까지 통달한 정교함, 세상의 흐름에따라 기존의 지식 업데이트를 반응하는 민첩합, 그리고 무엇보다도 그것들이 새어나가지 않게 완성시켜주는 겸손한 인격이 
    공통점이다.  
     경이로운 지경에 도달한자들은 과연 어떠한 인간인지  20대초반의 들뜰줄 밖에 몰랐던 한 풋내기의  뇌리에 각인되더군. 
     
    사실 공자 왈 " 모른다고 하는것이 앎이다." 즉, 자신이 정확히 모르는 범위가 어디까지인지 알아야
    그것을 알수 있는 계기가 생기는거지. 모르는부분이 있으면, 알면되는거고, 그렇게 계속계속 확장
    해 나가면 되는거지. 그래서 공부는 하면할수록 자신이 무식하다는것 더욱느끼게 된다. 
    기억해라. 한계를 아는것이 아이러니하게 한계를 넓혀줄것이다.
     
  • 아 멋있는 교수들이다 내가 상상하던 교수의 모습이다 외쿡대학 교수들은 기본적으로 마인드가 저러한가요?  아니면 그분이 유독 특별한거가요?
  • 레가투스
    16.03.26

    뭐 저 두양반이야, 그 당지에서 일진들이라 그런거고(또 내가 그렇게 일진으로 쳐주어서 그런거고), 아마 대부분 나머지 작자들도 기본적인 태도는 다 지니고 있지만 , 그리 높게 평가할 그릇은 못된다. 그래도 그들을 헬조선 교수진이랑 비교하면 한사발 모욕인거고. 

    미국은 항상 학기말에 

    학생들이 냉혹하게 교수를 평가하는 설문지관례 떄문에,  항상 평가당하니 그 인간들도 행동거지 똑바로 한다. 
     
  • 노땅
    16.03.26

    사실  한국인의  정신 구조가  단순  명료한  구조라,   조금  깊이   내려 가면   금방   정신구조가  드러나므로,  질문 받는 이가

    자신의  한계  밑까지  내려 가길   좋아 하지  않아서 입니다.  차라리  깊은   내용을  알고  싶으시면  영어를  열심히   하셔서  외국 문헌을  읽어요

    즉  암기해서  간신히  기억 나는 대로  답해  줬는 데, 자신이  한번도  생각해 본적 없는  질문을  던지니   마치  자신의  무식이  드러나는 것 같고, 

    앞에서  답해 줄때만 해도  권위가  있는 폼 잿는 데 , 바닥에  왔다고  느낄 때, 자신이  권위를  박탈당한다고  생각하는  희한한  정신 구조라서  그렇읍니다. 

  • 저하고 비슷한 분이 있었네요. 저 또한 서양의 전생을 기억하기에 이곳에서의 생활이 너무나도 불편합니다.

    조선인들은 지적 컴플렉스 많은거 맞습니다. 제가 서구 사회에서 몇년간 살아왔는데 그들은 모르는건 모른다 합니다. 저도 이부분이 어렸을때부터 의문점이었죠.

    더 웃기는건 그러면서도 조선 종족은 선하지도 않아요. 늘 정을 강조하고 뛰어난 민족임을 내세우는건 그 반대이기 때문입니다. 진정으로 정 있고 뛰어난 사람들은 그런 말 안합니다. 행동으로 보여주죠.

    조선인들은 교활한 악마들입니다. 
    구글에서 The country of liars 라고 검객하시면 첫 페이지를 South Korea가 전부 도배하고 있죠. 이게 현실입니다.
조회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 너도한방 나도한방...즐거운 헬조선의 자유게시판 입니다. ↓ 35 new 헬조선 7049 0 2015.07.03
5290 몽골이나 여러 알타이 민족 국가와 연합해야 하지 않나? 18 new Uriginal 502 3 2015.11.25
5289 한동안 헬조선 사이트 유동인구 줄어들듯 10 newfile 먹고살고싶다 502 9 2015.10.23
5288 헬조선 서민들의 큰 착각중 하나 5 new 가난뱅이노예 501 5 2015.09.18
5287 여기도 어차피 망해가는 것 같은데 이제 하고 싶은 말을 해 봐야겠다 8 new Uriginal 500 5 2015.12.22
5286 탈조선하고 호주로 갈려는 행자분들(1탄) 2 new 삼먁삼보리헬조선 500 2 2015.10.04
5285 다들 똥양똥양하길래..... 1 new 육노삼 499 6 2016.05.30
5284 나일리지가 뭔 벼슬이라구 3 new 탈조센꿈나무 499 8 2015.12.14
5283 빤스까지 홀라당 new 프라채 499 0 2015.11.30
5282 그런데 영어가 뭐가 어렵다고 그러는 것인지 28 new Delingsvald 498 5 2015.11.28
5281 금 은 동 흙 똥 수저 14 new 헬탈출하고싶다 497 1 2015.11.05
5280 장미가 극찬했던 사이트, 가생이 닷컴 4 new 괴즐나사 497 4 2015.10.14
5279 여기 사람들 헛소리가 심해서 짜증이 나는데 31 new Uriginal 496 1 2016.10.09
5278 호주에서 보이는 한국인들 느낀점.. 5 new 미개한김치년 495 6 2016.07.03
이렇게 못된 문명은 망해야 한다 2 (왜 모른다고 말할줄 모르는가) 6 new 무스탕 495 7 2016.03.25
5276 바깥세상 참 험합니다. 한국인 10할중 9할은 전부 사기꾼들.. 4 new 기무라준이치로 495 5 2016.01.01
5275 뉴스에 실린 꼰대 체크리스트 1 newfile 트리플횡령 495 5 2015.10.12
5274 세계 유일의 헬파티. 20 new 야매불반도 494 1 2016.09.07
5273 헬 조선 마트에서 짓거리 두 번째 이야기 (일본놈들 업체에서) 1 new 090523 494 3 2015.10.09
5272 머지않아 완전히 침몰할 헬조센에서 살아가려면? 16 new 헬조센노예사육장 493 4 2016.03.10
5271 예상은 했지만 징병검사 재검이 뜨고 나니 열이 확 오르네... 21 new 식칼반자이 493 4 2015.10.21
1 - 12 - 2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