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red_alert_3
17.07.29
조회 수 238
추천 수 3
댓글 5








뉴욕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구글의 인적자원부서 대표 Lazlo Bock은, 구글에서는 "학점과 공인 시험성적은 채용기준으로서 쓸모가 없으며 아무것도 예측해주지 못한다"고 했다. 또한 그는 "구글에서 대학도 졸업하지 못한 사람들의 비중이 이제 14%에 달하는 등 꾸준히 높아져 왔다"고도 했는데, 요즘과 같이 자녀들이 직업을 찾기 어려워 하는 시기에 구글을 방문해서 Bock씨가 채용기준에 대해서 어떤 말을 해 줄지 궁금해하지 않을 수 없었다. 

 

Bock은 "오해하지는 않았으면 좋겠다"면서 "성적을 잘 받는게 나쁜건 아니며, 구글 직원들은 수학, 컴퓨터 및 코딩능력을 갖고 있어야 하는데 성적이 이들 분야에서의 능력을 진실되게 반영한다면 지원해도 되며 이점이 된다"고 말하면서도 구글은 다른 데 더 관심이 많다고 말한다. 

 

"구글에서는 크게 5가지 특징을 찾는데, 기술적 직무에 인력을 선발할 때는 당연히 코딩능력을 찾기는 하지만 이는 전체 직무의 50%밖에 해당되지 않으며, 모든 직무에 걸쳐서 인지능력을 찾는다. 이는 IQ나 학습능력과는 대비된다. 이는 순발력있게 판단하는 능력을 뜻하며, 서로 다른 정보를 연결시키는 능력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를 평가하기 위해서 구조화된 행동인터뷰를 진행하며 이러한 인터뷰들이 인지능력에 대한 예측력이 있게끔 구성한다". 

 

또한 리더십능력도 보는데, 전통적인 리더십 보다도 부상적 리더십을 찾는다. 전자의 경우는 "체스클럽 대표였냐? 판매담당 부사장이었냐? 얼마나 빨리 그 자리까지 올라가게 됐냐? 하는 것인데 이런 것에는 관심 없다. 우리가 찾는 역량은, 문제에 직면했으며 팀의 일원일 때, 적절한 시간에 개입해서 리드하느냐 마느냐 하는 것이다. 또한 핵심적인 문제로서 적절한 시기에 리딩을 멈추고 다른 사람에게 리드하도록 하느냐 하는 것도 보는데, 이러한 환경에서 효과적인 리더가 되려면 힘을 놓는 법도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또 뭘 보는걸까? 겸손함과 주인의식도 본다. "어떤 책임감을 갖고 있고 주인으로서의 책무가 있다, 즉 어떤 문제든 해결하려는 참여의식을 갖고 있어야 하고, 다른 이들의 아이디어를 수용하는 데 적극적인 겸손함도 갖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최종 목적은 우리가 함께 일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인데, 개인들이 기여한 다음에 물러서는 겸손함이 요구된다". 

 

여기에서 힘을 놓는다 함은 다른 사람이 기여할 수 있도록 공간을 만들어주는 것 뿐만 아니라, 지적 겸손함도 의미하기도 한다. 겸손함 없이는 학습할 수 없기 떄문이다. 이 때문에 많은 명문MBA 출신 직원들이 발전을 멈추는지도 설명한다. 성공적이고 똑똑한 학생들은 실패를 겪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이러한 실패 경험으로부터 학습하지 못하게 된다"라고 Bock은 말했다. 

 

“They, instead, commit the fundamental attribution error, which is if something good happens, it’s because I’m a genius. If something bad happens, it’s because someone’s an idiot or I didn’t get the resources or the market moved. ... What we’ve seen is that the people who are the most successful here, who we want to hire, will have a fierce position. They’ll argue like hell. They’ll be zealots about their point of view. But then you say, ‘here’s a new fact,’ and they’ll go, ‘Oh, well, that changes things; you’re right.’ ” You need a big ego and small ego in the same person at the same time.

 

"그들은 귀인의 오류를 범하는데, 이는 무엇을 뜻하냐면 어떤 좋은 일이 일어났을 때 그것은 내가 똑똑하기 때문에 일어났다"라고 말하게 된다. 나쁜 일이 일어났을 때는 그 사람이 바보이거나 내가 자원이 부족했거나 시장이 변했거나, 하는 주장을 한다. 우리가 경험하기로 가장 성공적인 사람들이면서 우리가 고용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아주 강력한 주장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들은 미친듯이 토론한다. 그들은 그들의 시각을 지키는 열성분자가 된다. 그런데 그들에게 "새로운 사실"을 던져주면 "그게 맞겠구나, 네가 옳다"라고 말하곤 한다. 한 사람 안에 고집센 사람과 고집이 없는 사람이 공존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가장 덜 중요한 덕목은 전문성이라고 한다. "높은 인지능력을 갖고 있고, 내적으로 호기심이 많고 학습의지가 높으며 부상적 리더십을 갖고 있는 사람을 인사담당이나 금융담당으로 고용하고, 그들에게 전문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해당 업무를 줄곧 해온 사람과 비교하면, 후자는 "이걸 100번 넘게 해 봤으니 이렇게 해야 해"라고 하겠지만, 전자 역시 같은 답을 들고 올 것이고 왜냐면 일반적으로 일이 어렵지 않기 때문이다"라고 한다. 물론 전문성이 없다면 실수를 많이 하겠지만, 어쩌다 한 번씩은 완전히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게 될 것이고 거기에 훨씬 높은 가치가 숨어 있다"고 한다. 

 

To sum up Bock’s approach to hiring: Talent can come in so many different forms and be built in so many nontraditional ways today, hiring officers have to be alive to every one — besides brand-name colleges. Because “when you look at people who don’t go to school and make their way in the world, those are exceptional human beings. And we should do everything we can to find those people.” Too many colleges, he added, “don’t deliver on what they promise. You generate a ton of debt, you don’t learn the most useful things for your life. It’s [just] an extended adolescence.”

 

Bock의 채용 철학은 한 마디로 하면, 재능은 너무나도 다양한 형태로 구성돼 있고 옛날과는 너무나도 다른 방식으로 구성돼 있기 때문에, 고용주들은 브랜드가치가 높은 대학 출신자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람에게 열려 있어야 하며, 특히 "대학을 다니지 않고도 자기 삶을 꾸려 나가는 사람들을 보면 이들은 특출난 인간들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런 사람들을 찾는데 모든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너무나도 많은 대학들은 "그들이 약속한 바를 전달해주지 못하며 부채만 많이 지고 인생을 위한 가장 중요한 덕목들을 배우지 못한다. 단지 청소년기를 연장시켜줄 뿐이다"라고 말했다. 

 

Google attracts so much talent it can afford to look beyond traditional metrics, like G.P.A. For most young people, though, going to college and doing well is still the best way to master the tools needed for many careers. But Bock is saying something important to them, too: Beware. Your degree is not a proxy for your ability to do any job. The world only cares about — and pays off on — what you can do with what you know (and it doesn’t care how you learned it). And in an age when innovation is increasingly a group endeavor, it also cares about a lot of soft skills — leadership, humility, collaboration, adaptability and loving to learn and re-learn. This will be true no matter where you go to work.

 





  • 저 회사는 별로 안좋아하지만, 역시 본질적인 것을 파악할 줄 아는구나.
    "본질을 보는 능력"을 저렇게 개념화, 문서화 가능한 인재가 존재하는군.
  • 구글 자체가 조직학에 끼친 영향이 상당할듯... 체계적으로 부정적인 요인들을 잡아내는 것도 그렇구...

    저걸 요약하자면.
    한 조직에는 여러 종류의 인재가 필요하고, 학점과 공인어학성적은 중요하지 않다기보다는 구글에 필요한 수많은 인재상 중 하나일 뿐이며 절대적인 의미를 가지지는 않는다라는 의미 정도일듯...
  • 원래 미국인들이 그렇다. 본질적이고 단순하다. 
  • 크 헬조선  기업에서는 찾아볼수 없는  방식이네 
    구글갓에  취한다
  • 구글뿐만 아니라 원래 서양에서는 그렇게 함... 서양애들 이력서 쓴거 봤어? 진짜 도대체 뭘 어떻게 써야할지 모를정도로 아주 간결해~ 우리나라같이 사진 붙이고 키 체중 가족관계 등등 업무에 중요하지도 않을 사항 쓸필요 없어 그냥 내가 과거에 어떤 업무를 했는지 그게 다야~~ 구글재팬인가? 거기 입사한 재미교포애가 있는데 다 필요 없대 한국에서 말하는 '스펙'? 이런거 관심없고 영어랑 과거에 일했던 경력만 있으면 되고 그것을 어떻게 잘 설명하느냐가 중요하대
댓글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 너도한방 나도한방...즐거운 헬조선의 자유게시판 입니다. ↓ 35 new 헬조선 7052 0 2015.07.03
3518 자살예방에 대한 제 생각 5 new oldberry1800 154 5 2017.08.30
3517 이효리 남편 이상순 호소글 5 new 꼬레꼬레아 222 4 2017.08.18
3516 양성갈등의 원인 5 new 나키스트 351 13 2017.08.19
3515 댓글을 통해서 한 번 잠깐 살펴보자. 5 new 베스트프렌드 199 1 2017.10.02
3514 형님들 고민 좀 들어주세요. 5 new 헬좆선씨발 191 5 2017.11.08
3513 전쟁 났으면 좋겠다!! 5 new 배대호 388 3 2017.12.06
3512 멍청한 애들은 애낳지 않으면 좋겠다 5 new 깨어나고싶다 490 1 2018.05.04
3511 초고등쇼군 추종자 = 초고등영혼대천재쇼군 5 new 노인 79 0 2018.06.02
3510 금연구역에서 담배 뻔뻔하게 피고잇어도 벌금 안매기는 좆찰 5 new 먼지시비안텀 95 3 2018.06.19
3509 참 신기한게 역갤에서 보던 글을 여기서 다보네 5 new 죽창한방이면 176 0 2018.07.14
3508 초6인데 꿈에대한 가망이없어요 5 new 강바다 207 0 2018.08.13
3507 좌빨들은 중, 러가 미국과 대등한 강대국이라고 뇌피셜에 잠겨있지만 5 new 히익여기가헬조선이라고 73 0 2019.03.04
3506 미안하다 이 사진을 보고 동감할 수 밖에 없었다 4 new 민족주의진짜싫다 616 4 2015.08.01
3505 나도 옛날엔 우리나라에서 태어난게 진짜 다행이라고 생각했는데.. 4 new asfasdq1 313 1 2015.08.11
3504 슬슬 분탕종자들 몰려오기시작했네요. 4 new 헬조선반도 302 7 2015.08.07
3503 미국이나 한국이나..... 4 new 헬리퍼스 242 2 2015.08.08
3502 케네디 명언이 뭐 어쨋다구..... 4 new 헬리퍼스 417 3 2015.08.08
3501 Rose에게 이 글을 바칩니다. 4 new 헬조선반도 289 0 2015.08.09
3500 개인적으로 부탁드립니다.... '장미' 한테 댓글 달지 말아주세요 4 new 왓더뻑킹헬조선 260 9 2015.08.10
3499 내일이 헬조선 광복 70주년이네.. 4 new 지옥조선탈출 170 1 2015.08.14
1 - 100 - 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