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억만장자, 세계는 '자수성가'…한국은 '상속의 나라'

상속부자 비율 74% '세계 6위'…"자수성가는 척박한 환경"
입력 : 2016-03-14 14:33:27 수정 : 2016-03-14 14:34:04

 
 
한국의 억만장자 중 상속으로 부를 일군 사람의 비율이 전세계 78개국 중 6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계 흐름과는 역행되는 현상으로, 우리사회에 만연한 부의 대물림을 여실히 보여주는 지표다.
 
미국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가 최근 발간한 '슈퍼리치의 근원: 억만장자의 성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자산 10억달러(약 1조2000억원) 이상 보유자 중 74.1%가 '상속형(inherited) 부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계 평균치인 30.4%는 물론 중국(2%), 일본(18.5%), 미국(28.9%), 프랑스(51.2%) 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한국보다 상속형 부자 비율이 높은 곳은 아랍에미리트(75%), 아르헨티나(80%), 덴마크(83.3%), 핀란드(100%), 쿠웨이트(100%) 정도였다. 다만 이들 국가의 억만장자 비율은 전체의 0.2~0.4%에 불과해 1%가 넘는 국가 중에서는 한국의 상속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PIIE가 1996년부터 2015년까지 20년에 걸친 포브스의 억만장자 리스트를 기반으로 분석했다. PIIE는 보고서를 통해 "전세계의 평균 소득 증가율은 둔화되고 있지만 막대한 부를 축적한 사람의 수는 매우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고 진단했다. 2015년 말 기준 전세계 억만장자 수는 1826명으로 집계됐다. 사상 최대 규모다.
 
주목할 만한 점은 선진국보다 신흥국에서 억만장자의 수가 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천연자원이나 정치적 연줄을 기반으로 부를 축적했던 과거와 달리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IT 분야에서 새로운 사업 기회를 포착한 부호가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도 이와 무관치 않다. 40세 이하의 젊은 부호·자수성가형 부호·여성 부호 등이 크게 늘어난 것도 같은 맥락이다.
 
PIIE에 따르면 자수성가형(self-made) 부호의 비율은 1996년 44.7%에서 2001년 58.1%, 2014년 69.6%로 꾸준하게 늘었다. 반대로 상속형 부호는 1996년 55.3%에서 2014년 30.4%로 줄었다.
 
전세계 억만장자들의 부의 원천 비율 변화. 자료/PIIE
이는 선진국과 신흥국을 가리지 않는 보편적 추세였다. 미국과 유럽 등을 포함한 선진국에서 자수성가 부호의 비율은 2001년 56.4%에서 2014년 79.1%로 늘었다. 같은 기간 신흥국에서는 58.4%에서 62.7%로 증가했다.
 
국가별로는 가장 많은 억만장자가 살고 있는 미국에서의 자수성가 비율이 71.1%로 나타났다. 창업(32%)과 금융 분야(26.8%)를 통한 부의 축적이 비슷했다. 대표적 인물로는 마크 주커버그 페이스북 창업자,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 등이 있다.
 
최근 10년 사이 억만장자의 수가 2명에서 213명으로 폭증한 중국에서는 자수성가형 비율이 무려 98%에 달했다. 이중 절반 가까이가 창업을 통해 부를 쌓았다. 리옌훙 바이두 창업자, 마윈 알리바바 창업자 등이 대표적이다.
 
포브스 선정 3년 연속 세계 최대 부호에 이름을 올린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는 대표적인 자수성가형 부자다. 사진/뉴시스·AP
 
반면 한국은 자수성가형 부자 비율이 25.9%에 그쳤다. 지난 20년간 억만장자 수는 7명에서 30명으로 늘었지만 자신의 힘으로 부를 일군 것과는 거리가 멀었다.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을 비롯해 홍라희 리움미술관장,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등 삼성가의 억만장자들만 해도 모두 상속형 부호로 분류된다. 삼성을 비롯해 재벌가는 물론 중소기업, 일반 시민까지 부의 규모와 상관없이 상속을 당연시하는 기류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재벌 중심의 경제구조와 자본시장 미성숙, 안정적 직장을 선호하는 분위기 등이 종합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했다. 권오인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경제정책팀장은 "한국은 선진국보다 세금을 비롯한 각종 규제의 틀이 상대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재벌들의 부의 대물림을 끊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개인이 새로운 시장에 진출하려 해도 독과점 구도가 형성돼 있는 곳이 적지 않는 등 진입장벽도 높은 편"이라고 진단했다. 자수성가형 부자가 나오기에는 제반 환경이 비교적 척박하다는 설명이다. PIIE 역시 "한국의 부호들은 과거 산업화를 통해 경제가 급속 발전하던 때와 무관치 않다"고 평했다.
 
김진양 기자 [email protected]
 
 
남조선 북조선 모두 세습제 ㅋㅋㅋ





  • 교착상태
    16.03.16
    전문가들이 사실을 말해주지를 않는군, 세금에 대한 구조적인 문제로 신흥부자가 나오지 않는게 아니라
    갑질과 대기업 하청과 쥐어짜기로 신흥부자가 나올수 없는 구조라고 말해야 하지 않나?

    상속세 같은 이야기 따위만 나오는 수준하고는... 지들도 사실을 말하면 좆될까봐 두려운거겠지..
  • 고속탈출
    16.03.18
    심지어 러시아 만도 못하죠- 러시아야뭐... 비리사업(?)으로 빨리 재벌된게 함정이지만요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3526 0 2015.09.21
6030 새마을 정신을 이어가자! 2 newfile 너무뜨거워 701 2 2016.03.28
6029 맘충의 정석 6 newfile 새장수 584 9 2016.03.27
6028 청상어 발사대 3개중 1개꼴로 불량 1 new john 475 4 2016.03.27
6027 여기에도 음모론자가 많은 것 같은데 8 new Delingsvald 576 2 2016.03.27
6026 한국은 동남아, 터키에게 군사력이 뛰어나다고 장담할 수 없다. 5 new aircraftcarrier 512 5 2016.03.27
6025 제가 직접 겪은 헬조선 교수X의 쓰레기 경쟁만능주의 행패!! 6 new 진정한애국이란 643 4 2016.03.26
6024 안철수는 새누리당표를 나누게 될까요? 아니면 민주당 표를 나누게 될까요? 3 new 시대와의불화 319 2 2016.03.26
6023 어차피 세상은 바뀔거야. 단지 그 것에 방점을 찍기위해서는 단 한번의 riot가 필요한데, 그 것은 이를수록 ... 3 new john 597 6 2016.03.26
6022 한국인들은 한국의 역사가 5000년이라고 자랑하지만 21 new Delingsvald 999 6 2016.03.26
6021 약육강식의 국무총리 3 newfile 새장수 477 9 2016.03.26
6020 스크랩 보기, 저장함 보기 사용법 아시는 분? new 좆센징마귀박멸 298 0 2016.03.26
6019 14살 소녀 성노비 2 new 미개한반도미개한망국미개한인민해방전선 644 8 2016.03.26
6018 여기 오는것도.. 2 new 양송이스프 323 2 2016.03.26
6017 헬갤러들아 지금부터 착하게 살아라 14 newfile 새장수 777 9 2016.03.25
6016 아이 맡기는것도 두려움인 헬 1 newfile 이넘의헬 474 0 2016.03.25
6015 헬의 월급은 10년째 무한정차중 newfile 이넘의헬 710 5 2016.03.25
6014 술에 너무너무 관대한 헬법원 3 newfile 이넘의헬 281 2 2016.03.25
6013 헬조선이 해냈다!) 6년만에 국민소득 감소 3 new 샹그리라 775 8 2016.03.25
6012 현재까지 선거진행상황을 보면서 4 new 시대와의불화 367 0 2016.03.25
6011 [펌] 정알못을 위한 김무성 옥새파동 간단정리 new 13Crusader13 387 0 2016.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