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나도한마디(비서실장)
17.01.18
조회 수 188
추천 수 7
댓글 7








그 대통령어르신 "호세 무히카"님의 연설문

 

이곳에 오신 정부 대표와 관계자 여러분 모두에게 감사 인사를 전합니다.

저를 초청해 주신 브라질 국민들과 지우마 호제프 대통령에게도 감사 드립니다.

그리고 저보다 먼저 여기에 서서 연설한 훌륭한 연사들에게도 감사 드립니다.

저는 이 자리에서 몇 가지 의문을 말씀 드리고자 합니다. 오후 내내 우리는 지속 가능한 발전과 빈곤을 없애는 문제에 대해 논의해왔습니다.

과연 우리의 본심은 무엇입니까?

현재 잘살고 있는 여러 나라의 발전과 소비 모델을 흉내 내자는 게 아닙니까?  

여러분들에게 묻습니다. 독일 가정에서 보유한 자동차와 같은 수의 차를 인도인이 소유한다면 이 지구는 어떻게 될까요? 

우리가 숨 쉴 수 있는 산소가 어느 정도 남을까요? 

  더 명확하게 말씀 드리겠습니다.

서양의 부유한 사회가 하는 그런 소비 행태를 세계의 70~80억 사람이 할 수 있을 정도의 자원이 지구에 있을까요?

그게 가능합니까?

아니면 언젠가 우리가 다른 논의를 해야만 할까요?

왜냐하면, 우리가 사는 이 문명은 우리가 만든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 문명은 시장 경제와 경쟁이 낳았습니다.

 

그리고 무한의 소비와 발전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시장경제가 시장 사회를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시장 경제가 자원을 찾아 세계 곳곳을 다니는 세계화를 만들었습니다.   

우리가 세계화를 통제하고 있습니까?

아니면 세계화가 우리를 통제하고 있습니까? 

이런 무자비한 경쟁에 바탕을 둔 경제시스템 아래서 우리가 연대나 더불어 살아가자는 논의를 할 수 있나요?

어디까지가 동료이고 어디까지가 경쟁 관계인가요?

  제가 이런 말씀을 드리는 이유는 이번 행사의 중요성을 비판하기 위해서가 아닙니다 그 반대입니다.

우리 앞에 놓인 큰 위기는 환경의 위기가 아닙니다.

그 위기는 정치적인 위기입니다.   

현대에 이르러 우리는 인류가 만든 이 거대한 세력을 통제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도리어,  이 같은 소비사회에 통제당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발전을 위해 태어난 것이 아닙니다. 

 

우리는 행복하기 위해 지구에 온 것입니다.

인생은 짧고 바로 눈앞에서 사라지고 맙니다.

생명보다 더 귀중한 것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대량소비가 세계를 파괴하고 있음에도 우리는 고가의 상품을 소비하는 생활 방식을 유지하기 위해 인생을 허비하고 있습니다.

소비가 사회의 모터인 세계에서 우리는 계속해서 많이 그리고 빨리 소비를 해야만 합니다.

소비가 멈추면 경제가 마비되고 경제가 마비되면 불황이라는 괴물이 우리 앞에 나타납니다.   

대량소비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상품의 수명을 단축하게 하고 가능한 한 많이 팔도록 해야 합니다.

즉, 10만 시간을 사용하는 전구를 만들 수 있어도 1000시간만 쓸 수 있는 전구만을 팔아야 하는 사회에 살고 있는 것입니다!

그렇게 긴 시간 사용할 수 있는 전구는 이런 사회에서는 좋은 물건이 아니기 때문에 만들어서는 안 됩니다.

사람들이 더 일하고 더 많이 팔 수 있게 하려고 ‘일회용 사회’를 지속해야 합니다.   

우리가 악순환에 갇혀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십니까?

이것은 분명히 정치 문제이고 지도자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방법을 써서 세계를 이끌어 가야 합니다.    동굴에서 살던 시대로 돌아가자는 것이 아닙니다.

시장을 통제해야만 한다는 것을 말씀 드리는 것입니다.

제 부족한 식견으로 보면 우리가 맞닥뜨리고 있는 문제는 정치적인 것입니다.   

먼 옛날의 현자들, 에피쿠로스, 세네카, 아이마라 민족까지 이렇게 말합니다.

“빈곤한 사람은 조금만 가진 사람이 아니고 욕망이 끝이 없으며 아무리 많이 소유해도 만족하지 않는 사람이다”

이것은 문화적인 문제입니다. 

저는 국가의 대표자로서 리우 회의에 그러한 마음으로 참가하고 있습니다.  

제 연설 중에는 귀에 거슬리는 단어가 많이 있을 것이라 생각하지만,

수자원 위기와 환경 위기가 문제의 근본 원인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주셨으면 합니다.

근본적인 문제는 우리가 만든 사회 모델인 것 입니다. 그리고 반성해야 할 우리들의 생활방식인 것입니다.  

저는 환경자원이 풍부한 작은 나라의 대표입니다. 우리나라 국민은 300만 명 밖에 안됩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는 세계에서 가장 맛있는 1300만 마리의 소가 있습니다.

염소도 800만에서 1000만 마리 정도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식량, 유제품, 고기를 수출하는 나라입니다. 아주 작은 나라임에도 토지의 90%가 비옥합니다.

 

제 동지들인 노동자들은 8시간 노동을 쟁취하기 위해 싸웠습니다.

 

그리고 지금은 6시간 노동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6시간 노동을 하게 된 사람들은 다른 일도 하고 있어 결국 이전보다 더 오랜 시간 일하고 있습니다.

왜일까요?

그는 오토바이나 자동차 등의 구매에 들어간 할부금을 갚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가 그 돈을 다 갚고 나면 자신이 저처럼 류마티스 관절염을 앓는 노인이 되어 있고,

자신의 인생이 이미 끝나간다는 것을 깨달을 것입니다. 어떤 사람은 이렇게 묻습니다.

이것이 인류의 운명이 아닌가 라고요?

제가 말하려는 것은 너무도 간단합니다.   

개발이 행복을 가로 막아서는 안됩니다.

개발은 인류에게 행복을 가져다 주어야만 합니다.

개발은 행복, 지구에 대한 사랑, 인간관계, 아이 돌봄, 친구 사귀기 등 우리가 가진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켜줘야 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가진 가장 소중한 자산은 바로 행복이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싸울 때 우리는 환경 문제의 가장 핵심 가치가 바로 인류의 행복이라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207 0 2015.09.21
10146 야 근데 정상에서 5분 겨우 있다가 추노하면 산 정복한거냐? ㅋㅋㅋㅋ new DireK 75 0 2018.10.16
10145 한국교사들은 학교폭력 이지메 이런거 알면서 방조한다던데 대체 왜그런거임?ㅎ newfile 초고등영혼대천재쇼군 42 1 2018.10.16
10144 헬조선 통일 정책은 그저 민족주의를 자극 시키는 것 밖에 안된다. new 노인 26 1 2018.10.16
10143 한국의 자칭 우파들에게 - 만약에 남북 통일하게 되면 new 노인 56 0 2018.10.16
10142 어느정도 폭력 대응 응징 정당행위로 인정해야 한다. txt newfile 초고등영혼대천재쇼군 42 0 2018.10.17
10141 마거릿 대처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대처의 아이들) 1 new 노인 63 2 2018.10.17
10140 인간을 살짝 넘은 존재여만 멀쩡하게 탈조선 가능하다 2 new 감옥안의사회 99 2 2018.10.17
10139 한국에서도 혐북 + 진보적 자유주의(혹은 온건신좌파) 정권 나왔으면 좋겠다. 5 new 소수자민주주의 94 1 2018.10.17
10138 이 글이 마지막으로 앞으로 정치관심 자체를 끊을 생각임. 7 new 소수자민주주의 155 0 2018.10.17
10137 조선 반도 자체가 지옥이지 1 new 수면제 108 0 2018.10.17
10136 ㅎㅂ) 참젖의 위엄 new 가가아민 174 0 2018.10.18
10135 <세계가 만일 100명이 사는 마을이라면> 책에서 뭔가 수상한 것을 발견했습니다. newfile 노인 81 0 2018.10.18
10134 헬조선 부모 원한풀려고 자식 싸지르는거 맞다 new 감옥안의사회 107 0 2018.10.18
10133 동남아는 전문창녀 아닌여자들도 제안하면 몸팔고 그럼? 예전에 베트남에서 전문창녀 아닌 마사지사 여... newfile 초고등영혼대천재쇼군 97 0 2018.10.18
10132 이번 pc방 살인사건 보고 다시 느낀게 가게는 총기소지 허용해야함. ㄹ newfile 초고등영혼대천재쇼군 76 1 2018.10.18
10131 1930년 vs 2010년 7 new 노인 114 0 2018.10.18
10130 1930년대는 경제가 문제가 아니라니까 하여간 이래서 단편적인 편돌이는 안 되는 거다. 2 new DireK 110 0 2018.10.18
10129 남북문제.. 성장여력이 있는 나라끼리 싸우는 법이 어딧냐 이 병신덜아 생각을 좀 해라. 2 new DireK 102 0 2018.10.18
10128 조선반도 민주주의는 기존 gdp에 두배는 되야 가능하다 new 수면제 51 0 2018.10.18
10127 데니스 메도스 박사와 도넬라 메도스 박사는 성장의 한계를 썼다는데 1 newfile 노인 63 0 2018.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