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나도한마디(비서실장)
17.01.18
조회 수 188
추천 수 7
댓글 7








그 대통령어르신 "호세 무히카"님의 연설문

 

이곳에 오신 정부 대표와 관계자 여러분 모두에게 감사 인사를 전합니다.

저를 초청해 주신 브라질 국민들과 지우마 호제프 대통령에게도 감사 드립니다.

그리고 저보다 먼저 여기에 서서 연설한 훌륭한 연사들에게도 감사 드립니다.

저는 이 자리에서 몇 가지 의문을 말씀 드리고자 합니다. 오후 내내 우리는 지속 가능한 발전과 빈곤을 없애는 문제에 대해 논의해왔습니다.

과연 우리의 본심은 무엇입니까?

현재 잘살고 있는 여러 나라의 발전과 소비 모델을 흉내 내자는 게 아닙니까?  

여러분들에게 묻습니다. 독일 가정에서 보유한 자동차와 같은 수의 차를 인도인이 소유한다면 이 지구는 어떻게 될까요? 

우리가 숨 쉴 수 있는 산소가 어느 정도 남을까요? 

  더 명확하게 말씀 드리겠습니다.

서양의 부유한 사회가 하는 그런 소비 행태를 세계의 70~80억 사람이 할 수 있을 정도의 자원이 지구에 있을까요?

그게 가능합니까?

아니면 언젠가 우리가 다른 논의를 해야만 할까요?

왜냐하면, 우리가 사는 이 문명은 우리가 만든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 문명은 시장 경제와 경쟁이 낳았습니다.

 

그리고 무한의 소비와 발전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시장경제가 시장 사회를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시장 경제가 자원을 찾아 세계 곳곳을 다니는 세계화를 만들었습니다.   

우리가 세계화를 통제하고 있습니까?

아니면 세계화가 우리를 통제하고 있습니까? 

이런 무자비한 경쟁에 바탕을 둔 경제시스템 아래서 우리가 연대나 더불어 살아가자는 논의를 할 수 있나요?

어디까지가 동료이고 어디까지가 경쟁 관계인가요?

  제가 이런 말씀을 드리는 이유는 이번 행사의 중요성을 비판하기 위해서가 아닙니다 그 반대입니다.

우리 앞에 놓인 큰 위기는 환경의 위기가 아닙니다.

그 위기는 정치적인 위기입니다.   

현대에 이르러 우리는 인류가 만든 이 거대한 세력을 통제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도리어,  이 같은 소비사회에 통제당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발전을 위해 태어난 것이 아닙니다. 

 

우리는 행복하기 위해 지구에 온 것입니다.

인생은 짧고 바로 눈앞에서 사라지고 맙니다.

생명보다 더 귀중한 것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대량소비가 세계를 파괴하고 있음에도 우리는 고가의 상품을 소비하는 생활 방식을 유지하기 위해 인생을 허비하고 있습니다.

소비가 사회의 모터인 세계에서 우리는 계속해서 많이 그리고 빨리 소비를 해야만 합니다.

소비가 멈추면 경제가 마비되고 경제가 마비되면 불황이라는 괴물이 우리 앞에 나타납니다.   

대량소비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상품의 수명을 단축하게 하고 가능한 한 많이 팔도록 해야 합니다.

즉, 10만 시간을 사용하는 전구를 만들 수 있어도 1000시간만 쓸 수 있는 전구만을 팔아야 하는 사회에 살고 있는 것입니다!

그렇게 긴 시간 사용할 수 있는 전구는 이런 사회에서는 좋은 물건이 아니기 때문에 만들어서는 안 됩니다.

사람들이 더 일하고 더 많이 팔 수 있게 하려고 ‘일회용 사회’를 지속해야 합니다.   

우리가 악순환에 갇혀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십니까?

이것은 분명히 정치 문제이고 지도자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방법을 써서 세계를 이끌어 가야 합니다.    동굴에서 살던 시대로 돌아가자는 것이 아닙니다.

시장을 통제해야만 한다는 것을 말씀 드리는 것입니다.

제 부족한 식견으로 보면 우리가 맞닥뜨리고 있는 문제는 정치적인 것입니다.   

먼 옛날의 현자들, 에피쿠로스, 세네카, 아이마라 민족까지 이렇게 말합니다.

“빈곤한 사람은 조금만 가진 사람이 아니고 욕망이 끝이 없으며 아무리 많이 소유해도 만족하지 않는 사람이다”

이것은 문화적인 문제입니다. 

저는 국가의 대표자로서 리우 회의에 그러한 마음으로 참가하고 있습니다.  

제 연설 중에는 귀에 거슬리는 단어가 많이 있을 것이라 생각하지만,

수자원 위기와 환경 위기가 문제의 근본 원인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주셨으면 합니다.

근본적인 문제는 우리가 만든 사회 모델인 것 입니다. 그리고 반성해야 할 우리들의 생활방식인 것입니다.  

저는 환경자원이 풍부한 작은 나라의 대표입니다. 우리나라 국민은 300만 명 밖에 안됩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는 세계에서 가장 맛있는 1300만 마리의 소가 있습니다.

염소도 800만에서 1000만 마리 정도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식량, 유제품, 고기를 수출하는 나라입니다. 아주 작은 나라임에도 토지의 90%가 비옥합니다.

 

제 동지들인 노동자들은 8시간 노동을 쟁취하기 위해 싸웠습니다.

 

그리고 지금은 6시간 노동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6시간 노동을 하게 된 사람들은 다른 일도 하고 있어 결국 이전보다 더 오랜 시간 일하고 있습니다.

왜일까요?

그는 오토바이나 자동차 등의 구매에 들어간 할부금을 갚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가 그 돈을 다 갚고 나면 자신이 저처럼 류마티스 관절염을 앓는 노인이 되어 있고,

자신의 인생이 이미 끝나간다는 것을 깨달을 것입니다. 어떤 사람은 이렇게 묻습니다.

이것이 인류의 운명이 아닌가 라고요?

제가 말하려는 것은 너무도 간단합니다.   

개발이 행복을 가로 막아서는 안됩니다.

개발은 인류에게 행복을 가져다 주어야만 합니다.

개발은 행복, 지구에 대한 사랑, 인간관계, 아이 돌봄, 친구 사귀기 등 우리가 가진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켜줘야 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가진 가장 소중한 자산은 바로 행복이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싸울 때 우리는 환경 문제의 가장 핵심 가치가 바로 인류의 행복이라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조회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442 0 2015.09.21
17720 여기 블레이징한테 고맙다 3 new 강하게공격하고탈조선하자 188 0 2017.05.07
17719 북조선이 진짜 못살게 된 이유 1 new 노인 188 5 2017.04.02
17718 헬조선 청소년 인권침해 5 newfile 노인 188 1 2017.03.12
17717 의료비 파산 후 동반자살 2 newfile 불타오른다 188 3 2017.03.03
17716 고래싸움에 새우등 터집니다 7 newfile 탁월한전략가 188 0 2017.03.13
17715 남조선 vs 북조선 5 newfile 노인 188 3 2017.02.24
17714 Process가 가장 잘되는나라가 독일 Process가 가장 안되는나라가 한국 2 newfile 한국보다한인타운이더무시무시함 188 6 2017.02.13
우루과이 대통령. 7 new 나도한마디(비서실장) 188 7 2017.01.18
17712 영화 추천 2 new 수드라 188 0 2017.01.09
17711 어떻게 생각해보니깐.. 4 new 김밥 188 1 2017.01.08
17710 한국 교육에서 좋은 점수를 받기 위해서는? 2 new 백의악마센징 188 3 2017.01.01
17709 고구려를 한국과 관련시키는 것에 불만을 가지는 사람이 많은 것 같지만 4 new Uriginal 188 1 2016.11.20
17708 박근혜 지지율 11프로로 올랐다는데 사실인가요 9 new 탈조선성공 188 1 2016.11.07
17707 헬조선 야근 1 new 심영의짜씩 188 1 2016.09.08
17706 헬센징 어르신들 2 new 육노삼 188 1 2016.08.31
17705 헬조선 생활 일기 1 new 실천도못하믄서강요말라 188 2 2016.08.22
17704 나도 이정도 일당 주면 헬조선 똥구멍까지 빨수 있는데 3 new 지옥불조선 188 3 2016.07.27
17703 (효 에 대한 동정적인 시각) 모성을 자극하는 지옥불 사회 4 new 국밥천국 188 5 2016.07.21
17702 헬조선인들이 쉽게 착각하는것 new 오메가제로 188 3 2016.06.26
17701 참전용사 예우는 여전히 뒷전…오직 애국만 강요하는 국가... 2 new 진정한애국이란 188 7 2016.06.26